KOSTA/USA-2014 Indy conference 후기 (6)

학생들의 열악한 상황을 보면서,

더더욱 내게는…

과연 이런 상황이 우리의 노력으로 개선되는 것이 가능한 일일까 하는 회의가 밀려온 것이 사실이다.

약간의 희망의 틈이 보이긴 했지만,

과연 이 작은 희망의 씨앗이, 이 거대한 sinking boat를 지탱해 줄 수 있을까 하는 의구심이 들었다.

학생들의 작은 변화에 감격해 하다가도,

이런 회의나 의구심이 밀려오면 가슴이 막막해져서 혼자 그저 앉아있을 수 밖에 없었다.

그래서 중보기도실보다는 침묵기도실을 더 찾았다.

한번은 침묵기도실을 갔더니,

청년사역자로 섬기는 멘토 가운데 한분이 앉아서 기도를 하고 계셨다.

아, 저 분도 나처럼 이렇게 막막한 마음에 와 앉아 계신 것일까.

그런데 한주 내내 내 마음에 남았던 것은, 화요일 저녁 설교 message 였다.

화요일 저녁 설교는, conference design 상으로는 별로 잘 align된 message는 아니었다.

그리고 나도 그 설교의 어떤 면들은 동의하기 어려운 부분도 있었다.

그런데,

그중에 반복되는 한 구절.

‘예전에 들어보지도 못했던 방식으로 하나님을 사랑하고 섬기는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는 계속 내 귓전에 남았다.

화요일 설교에서, 설교자께서는,

자신이 경험한 ‘revival’을 언급하시면서, 그 revival의 결과로 이전에 들어보지도 못했던 방식으로 하나님을 사랑하고 섬기는 사람들이 열매로 나왔다고 말씀하셨다.

우선,

나는 그분이 경험한것이 부흥이라고 전혀 생각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그분이 그분의 시대에 경험한 일들은, 지금 이 20대가 경험하지 못하고 있던 일들이라는 것은 분명해 보였다.

부흥은 아니었을지 모르지만, pseudo-revival (유사부흥)이라고는 이야기할 수 있지 않을까.

그런 유사부흥을 통해서도 하나님께서는 당신의 사람들을 세우시고, 그렇게 세워진 사람들은 오랫동안, 때로 평생동안, 다른 이들이 상상할 수 없는 방식으로 하나님을 사랑하며 살아가게 된다는 것에는 깊이 공감할 수 있었다.

만일 그것이 사실이라면,

지금 이 학생들의 세대가 이렇게 지리멸렬한 것을 이 학생들의 책임으로 돌릴수만은 없다.

‘유사부흥’의 시대를 겪은, 세대가, 이 학생들에게 그 시대의 이야기를 해주면서, 그들에 대한 소망을 놓지 않고, 그들을 위해 기도하며, 그들을 섬기는 일을 해야 하는데, 그렇게 하지 못하는 것이 더 큰 문제일수 있다는 것이라는 생각도 해보게 되었다.

그리고, 그 ‘유사부흥’의 시대를 겪은 것은… 바로 지금 내가 속한 세대이다.

6 thoughts on “KOSTA/USA-2014 Indy conference 후기 (6)”

  1. 졸개님이 말씀하시는 참 부흥의 모습은 어떤 것인지 나눠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우아, 아주 긴 답이 필요한 질문을 하셨습니다. ^^
      사실 저도 그 ‘참된 부흥’ 이라는 것에 대해 어떻게 정의하는게 좋을지 하는 고민을 계속 하고 있습니다.
      다만, 제가 이해해왔던 참된 부흥의 표지는 대충 다음과 같은 것들이었습니다.
      – 하나님의 영광이 선명하게 드러남
      – 죄에 대한 깊은 깨달음과 통회
      – 하나님의 사랑에 대한 강한 확신
      – 보편적이고 광범위한 영향 (어떤 한 나라, 한 시대가 바뀔만한 scale)

      뭐 결국은, 복음의 복음됨이 명확하게 드러나고, 하나님의 영광이 명확하게 드러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사실 이건 마틴 로이드-존스가 이야기했을 부흥의 표지들입니다.
      청교도 신앙에 근거한.

      저는 지금은 부흥에 대한 생각이 그것으로부터 약간 더 진화해 있어서,
      혹시 이런표지가 나타나면 부흥이다 라고 생각하기 보다는,
      정말 시대와 한 지역이 바뀔만한 건강한 복음의 영향력이 나타나는 것이 부흥이 아닐까 하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청교도신앙에서 이야기하는 부흥과는 다른 형태의 부흥이 있지는 않을까 하고 고민하며 생각하고 있는 중입니다. ^^

      마틴 로이드-존스가 쓴, ‘부흥’이라는 책은,
      청교도 신앙에 근거한 부흥을 잘 설명한 고전인데요…
      저도 완전히 그책에 흠뻑 빠졌던 적이 있었습니다.
      지금도 제게 영향을 많이 끼치고 있는 책이고요.

      그나저나,
      이번에 finally 뵈어서 반가웠습니다. ^^
      언제 기회가 되면 좀 더 차분하게 앉아 더 깊은 얘기를 할 날이 오길 기대해봅니다.
      코스타 세팅에서는 그런건 불가능할 것 같아요. ㅎㅎ 서로 바빠서… ㅋㅋ

  2. “나는 그분이 경험한것이 부흥이라고 전혀 생각하지 않는다.”
    요부분 당시 시대에 대해서 그때의 사건들에 대해서 좀 평가 기준이 상당히 빡센 것 같다는..ㅋㅋ

    강사님께서 말씀하신 다섯번의 경험 중 제가 모르는 것들을 제외하고 아는 것들만 놓고 생각해 본다면, 그분이 말씀하신 것 처럼 하나님의 영혼과 시대를 사랑하심과 그것에 대한 반응들이 나타 났었고, 그 사건 (집회의 크기나 이런 것이 아니라, 영혼의 돌아옴 그리고 헌신 등)을 통해 하나님의 하나님 되심 (영광)이 드러나지 않았나, 그러면 그것을 부흥이라고 불러야 하지 않나 생각을 합니다. (문제는 그 이후에 빈곤한 신학과 개인적 공동체적 욕망으로 제대로 팔로우업이 안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 제가 기준이 낮죠?ㅋㅋ
    ————-
    딱히 강사님께서 설명하신 것 뿐아니라 (로이드존스가 어쩌면 모델링하고 있는 대각성운동등을 포함해서) 부흥 ‘운.동.’이라 불렸던 대다수의 사건들은 그 이후 기대치 않았던 부작용(?)과 그 이후의 반동(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을 낳았던 것 같습니다. 저는 음… 그것의 부작용 혹은 반동과 상관없이, 그것 자체로 부흥이라고 불러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런관점에서 보면 강사님이 말씀하셨던 부흥도 그것이 가지고 있던 한계성과 부작용에도 불구하고 부흥이라 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 입니다…
    ——-
    제가 왜 이 주제에 이렇게 집찹하냐 하면…
    ‘나는 무엇을 꿈꾸는가’하는 현재의 고민과 맏닿아 있기 때문입니다.
    나는 부흥을 사모하며 꿈꾸는가? 내가 있는 곳이 전면적으로 변화되기를, 모든 육체가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기를 꿈꾸는가? 혹은 꿈꿔야 하는가? (너무나도 당연한 하나님나라 소망에 의문을 가진다기 보다는, 현재 구체적 목표로 이를 추구해야 하는가? 하는 이슈입니다.)

    이런 부흥이라면 이것은 얼핏 어떤 대중운동의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 같은데, 음 나는 이러한 운동과 흐름을 생각하는가? 내가 꿈꾸지 않아서 막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걱정…나는 어떤 생각을 하고 있나 고민을 하게 됩니다.

    저는 음.. ‘물결’ ‘흐름’ ‘운동’ 이런 단어들 보다는 현재 제 마음에는 ‘한사람’ ‘깊음’ ‘관계’이런 단어들이 들어 있는데, 이런 두 단어군들이 양립할 수 있으리라 생각하지만 아니 양립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현재 단기간의 방향을 잡고 고민을 하는데는 좀 다르게 다가 옵니다.
    ——–
    헐…. 그 유명한 ‘의식의 흐름’수법으로 글을 써서 이소리 저소리 말도 안되게 주절거려 놓았네요….
    진짜로 이런 건 만나서 하는게 제격인데…ㅋㅋㅋ
    (ㄱㅈㅇ 목사님께 이야기 들으셨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목사님께서 코스타 지역 순회 사역을 하시면서 저희집에서 삼일인가 머물다 가셨거든요. 이번에 말씀하시면서, 삼일간 제가 잠을 안재웠다고 불평을…ㅋㅋㅋㅋ) 저한테 한번 걸리시면 못주무십니당…ㅋㅋㅋ 그날을 기대하며….^^

    1. 네, 정말 맞는 말씀입니다.
      사실 제가 마틴 로이드-존스를 접하면서 제게 주었던 가장 큰 유익은, ‘기준’이 높아졌다는 것이었습니다.

      말하자면, 기준이 높아져서… 그에 미치지 못하는 것에는 만족할 수 없게 되어버린 것이지요.

      저는 현대교회의 비극 가운데 하나는, 기준을 상실해버린 것이라고 믿고 있습니다.
      게다가 그 기준이 계속 떨어져가고 있고요.

      높은 기준을 가지고, 그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것을 몹시 안타까워하며 가슴을 치고 기도하는 일이 있어야 하는데…
      그냥 이래저래 우리끼리 잘 해먹는 것에 너무 쉽게 안주해버리는 것이 참 안타깝습니다.
      저도 역시 그런 흐름에 주저앉아 있는 것 같아 답답하고 안타깝고요.

      저는,
      그리스도인들이, ‘정상(normal)’에 대한 높은 기준을 갖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 기준에는 물론 거의 다다를 수 없지요.
      그렇지만 그 기준을 포기해버릴수는 없다는 겁니다.

      이것은,
      하나님을 갈망하는 것에도 그렇고,
      하나님의 일하심을 보기 원하는 갈망에도 그렇고,
      삶의 기준이나 부흥을 판단하는 잣대로 보아도 역시 그렇고요.

      대중운동이 나쁜 것은 아닌데,
      그리고 대중운동을 하다보면 어쩔 수 없이 높은 이상과 낮은 현실 사이에 어떤 합의점을 찾아야 하긴 하지만…
      그렇다고 높은 기준과 이상 자체를 포기하지는 말아야 한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사실 주변의 ‘그리스도인’들이, 제게 그 높은 이상과 기준을 포기하라고 이야기할때,
      저는 제일 복창이 터지지요. ㅎㅎ
      저처럼 많이 compromise되어 있는 기준 조차도 높다고 이야기한다면, 정말 별처럼 빛났던 믿음의 선조들의 기준은 뭐가 되느냐는 거죠…

  3. 넵, 저도 저의 기준을 다시한번 점검해야 겠습니다.

    근데 높은 기준을 세우고 또 스스로에게 그리고 지체들에게 요구할 때, 이것이 엘리트주의로 빠지지 않는 방법, 혹은 엘리트주의로 비치지 않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1. 음….
      높은 기준을 가진 것이 특권이 되지 않아야 할 것 같고요.
      높은 기준에 이르지 못하는 것에 대해 함께 애통해하는 것이 있어야 할 것 같고요, (자신을 포함해서)
      결국 기준이 높다는 것이 자신의 수준이 높다는 것이 아니라는 자각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사실 높은 기준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자칫 주변 사람들에게 ‘폭력적’으로 비추어질 가능성이 있는게 사실인 것 같습니다.

      이거 아니면 안된다는 그래서 너는 다 틀렸다 뭐 이렇게 하는 폭력 말입니다.

      사실 이번에 인디에서 그부분을 저도 많이 고민하고 생각한 부분입니다. 저로서도 clear한 answer가 있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Leave a Reply to 목수의 졸개 woodykosCancel reply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