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회자”라는 직분이 outdated? (7)

그리고 목회자들의 전유물이라고 생각했던 신학지식이 이제 더 이상 신학교에 가두어져 있지 않다.
마음만 먹으면 신학교 문턱 가까이에 가보지 않고도 꽤 양질의 신학교 강의에 해당하는 것들을 접할 수 있다.

나는 평신도로서 조직신학, 성서신학, 역사신학, 철학, 헬라어, 히브리어 등등을 상당한 수준으로 독학으로 공부한 사람들을 알고 있다. 신학교에는 근처에도 가보지 않은 사람들이다.  그렇다고 이 사람들이 여기저기서 잡다하게 공부를 했기 때문에 신학적 일관성을 가지지 못했느냐 하면 그런것도 아니다. 
웬만한 목회자들보다 이런 사람들이 훨씬 더 깊고도 넓은 신학지식을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다.

신학교육뿐 아니라, 일반적으로 교육환경이 많이 바뀌어가고 있다. 
실제로 엄청나게 많은 자료와 정보들이 인터넷에서 access가 가능하고, 그걸 좀 organize하고 systemize해서 교육의 형태를 바꾸어보려는 시도도 상당히 많이 이루어 지고있다.
나는 신학교육에도 그런 변화가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하고, 어떤 의미에서 그런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고 생각한다.

게다가 이와 관련된 큰 문제는,
최근 수십년간 꽤 active하게 진행되어온 신학적 주제에 대해 많은 목회자들이 무지하다는 것이다.
가령 N T Wright의 신학적 입장을 제대로 이해하는 목회자들이 얼마나 될까?
Christopher Wright가 이야기하는 Missio Dei가 자유주의자들의 Missio Dei와 어떻게 비교되는지를 설명할 수 있는 목회자들이 얼마나 될까?
Annabaptist 신학이 현대사회에 더 relavent 할 수 있다는 것을 간파하고, Yoder나 Hauerwas등의 저작을 공부하는 목회자들이 얼마나 될까?

평신도들 가운데 이런것들을 나름대로 공부하여 이해하고, 나름대로 강의도 하고, 여러 세팅에서 나눔도 하는 사람들이 생각보다 많다.

One thought on ““목회자”라는 직분이 outdated? (7)”

Leave a Reply to joeyfulnoisedcCancel reply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