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rdan Peterson의 회심

Jordan Peterson이 기독교인이 되었다는 것이 어떤 이들에게는 꽤 큰 뉴스가 되었다.
Jordan Peterson은, 말하자면 ‘우파’ 혹은 ‘보수진영’의 이론가라고 할 수 있는 사람이다.
그런데 이 분이 결국 기독교인이 된 과정을 나름대로 복기해서 보면, 결국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상의 가치 체계는 유대-기독교적 문화 전통을 제외하고는 이해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생각으로 부터 출발한 것이 아닌가 싶다.
그 후 개인적으로, 또 가족 구성원의 어려움을 겪으면서 일종의 ‘회심경험’을 하게 된 것이 아닌가 싶다.

다음은 Jordan Peterson이 공개적으로 그리스도인임을 이야기하는 영상 몇개를 모아놓은 것들.
과거에는 자신이 신을 믿는다고 이야기하는 것을 꺼렸고, 그 대답에 대해 애매하게 피하면서 대답을 했는데, 이제는 눈물을 흘리면서 자신이 기독교인이라고 이야기한다.

지금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는 결국 서구세계의 사상적 문화적 유산에 영향을 받아 형성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는 식의 접근은 기독교계에서도 꽤 많이 이루어져왔던 것 같다.

영국의 작가 Tom Holland의 Dominion이라는 책 같은 것에서도, 기독교가 인권, 민주 등 현대 인류가 유익을 얻는 많은 것들이 결국 기독교로부터 왔다는 주장을 하기도 한다.
Tom Holland는 영국의 철학자 AC Grayling이 기독교가 새롭게 인류에게 제시한 새로운 사상적 innovation을 하나라도 제시해보라고 이야기했을때, 결혼제도, 자연과학의 발전, 모든 인류가 존엄하다는 생각 등이 모두 기독교에서 기인한 것이라고 이야기했고, 무엇보다도 이 모든 것들이 universal truth로 받아들인 것 역시 기독교의 공헌이라고 이야기하기도 했다.

이와 같은 접근은 영국의 기독교 방송인 Premier 채널의 변증 프로그램인 Unbelievable에서 많이 다루어지는 접근이기도 하다.

Tom Wright도 이와 비슷한 접근으로 기독교를 변호하기도 했었고, Tim Keller도 역시 그랬다.

그래서 내가 하게되는 생각은 이것이다.
이런 접근이라면, 보주주의자들에게 있어 기독교는 매력적일수 밖에 없는 것 같다.
그렇다면 진보주의자들에게는?

Leave a Reply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