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 벌어 먹고 살기 (8)

(1) 낮은 차원에서 이원론을 극복하고자 하는 자세는 다음과 같다.
– 세상의 모든 영역을 하나님의 주권아래 두어야 한다.
– 모든 영역들을 나눈다.
– 각 영역별로 하나님의 주권을 세우는 것이 무엇인지를 잘 찾아서 행동강령을 마련한다.
– 그것을 실현한다.

그러나,
(2) 높은 차원에서 이원론을 극복하고자 하는 자세는 다음과 같다.
– 세상의 모든 영역을 하나님의 주권아래 두어야 한다.
– 세상의 모든 영역, 하나님의 주권 등등에 대해 깊이 고찰하고 그 의미를 찾는다.
– 이미 존재하는 여러 영역들에 그 고찰한 아이디어를 유연하게 적용하는 것이 어떤 것일까를 고민한다.
– 하나님의 주권을 행동강령으로 이해하지 않고 궁극적 이상으로 이해하고 현실에서의 유연함을 유지한다.

다르지 않은가?

말하자면,
북유럽 국가들이 사람을 더 존중하는 살기좋은 세상을 만들 수 있었던 것은,
(1)의 방법을 취하기 보다는 (2)의 방법을 취했기 때문이 아니었을까.

하나님의 사랑, 자비, 공의, 인애 등등을 더 깊이 받아들이고,
그 ‘개념’을 궁극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적당한 현실적 방안들을 찾아내는 것이다.

반면,
(1)의 방법을 취한다면…
성경적 경제 체체를 이루기 위해
성경적으로 은행을 하는 방법을 찾아서 구현하고
성경적으로 세금을 운영하는 방법을 찾아서 구현하고
성경적으로 이자를 조정하는 방법을 찾아서 구현하고…
이런식을 접근 하는 것이다.

(1)의 문제는,
2000년도 더 된 문서 속에서 21세기에 적용가능한 성경적 은행 운영의 원칙을 찾는다는 것 자체가 대단히 어렵고 왜곡의 위험이 크다는데 있다.

그러므로 더 중요한 것은 성경에서 이야기하는 근본적인 생각들에 대한 더 깊이 있는 이해를 한 후에,
현실적으로 적용하는 것은 현실을 감안해서 더 유연하게 해야하는 것이다.

소위 ‘성경적 직업관 = 변혁’ 이렇게 등식을 마련한 것은 (1)의 방법을 취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성경적 직업관 = 변혁’ 이렇게 하지 않더라도,
‘성경적 직업관 = [x]’ 라고 해놓고, x에 어떤 것을 넣어도 같은 위험성이 있다.

성경적 직업관을 논하기 전에, 정말 성경의 기본적 아이디어가 무엇인가를 더 깊이 고찰하고…
그것을 현실(직업=밥벌어 먹기) 속에서 잘 적용해나가야 하는 것이 아닐까.

Leave a Reply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