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genda driven vs. People driven (2)

나는 개인적으로,
금년 KOSTA의 주제가 ‘하나님 나라’라고 주어졌을때 별로 반갑지 않았다.

하나님 나라라는 주제가 중요하지 않아서가 아니다.
already-but-not-yet같은 구조,
창조-타락-구속이라는 구조,
이런식으로 도식화되는 하나님 나라이야기는 지금 청년 세대가 관심있어하는 내용도 아니고,
그렇게 설명해서 이해가 잘 되지도 않는다.

그래서 나는 ‘스토리’라는 것을 막 밀었다.
어떻게든 각각 개인의 삶과의 연결점을 주제 차원에서 만들어주지 않으면 이게 그냥 ageda를 던져주는 일로 끝나게 될 수 있다는 부담 때문이었다.

이제 집회를 마치고 나서 반성해 보건대…
잘 되었는지 고민을 하게 된다.
간사팀에서 제공해드린 conference flow를 가지고 강사님들이 잘 해주시긴 했는데…
결국 그냥 지나치게 agenda-driven conference가 되어버린 것이 아닌가 하는 마음의 부담이 계속 있다.
강사님들이 문제가 있었다거나, 간사팀에 문제가 있었던 것이 아니다. 각각 이분들은 자신에게 주어진 것을 아주 훌륭하게 잘 해주셨다. 그런데 모두 함께 모이니 그렇게 되었다는 거다. 아마 제일 큰 문제라면, 괜히 중간에서 하나님 나라라는 이야기를 스토리로 풀어보자고 주장했던 내가 아니었을까 싶기도 하다.

당연히 KOSTA 같은 운동에있어,
어떤 pivotal moment에 agenda 세팅을 하는 것은 중요하고 필요하다.
금년에는 주제가 그런 역할을 어느정도 했을 수도 있겠다.

그렇지만 이렇게 agenda driven 이 계속되면,
청년들에게…
너희들이 잘 몰라서 그러는데, 이거 가르쳐줄께…
이런 식의 꼰대 conference가 된것은 아닐까 그런 고민이 있다.

조금 더 bottom-up으로, 청년들의 마음과 목소리와 고민이 담기도록 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을 많이 하게된다.

가령,
나이 많이 드신, 이번에 다른 ‘단체(?)’에서 오신 어떤 분들은 이번 KOSTA가 진짜 좋았다고 하셨다고 한다. 신선한 충격이었다고도 했다. 왜냐하면 그분들이 추구하는, 그분들이 젊은시절부터 추구해왔던 agenda의 목소리가 KOSTA에서 담겼다고 느꼈기 때문이었을 거다.
그러나, 정말 청년들은 그 이야기들을 어떻게 들었을까?
이 사람들이 맞닥들이는 삶에서의 무게는 다른 것들은 아니었을까?
오히려 금년에 다루어졌던 이야기들은 한국교회의 폭력성을 걱정하는 분들이 agenda로 제시하는 것들이고, 그것은 지금 청년들이 들어야하는 이야기라기 보다는 어른들이 들어야 하는 이야기가 아닐까 하는 것이다.

KOSTA가 더 큰 그림 그리지 않고 그저 청년들의 felt need 만을 충족시켜주자는 말은 절대로 아니다.
그렇지만 어른들이 생각하기에 그들에게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던져주는 agenda-driven이 아니라,
그 사람들에게 정말 필요한것 (심지어는 그들이 그 필요를 당장 느끼지 못하고 있더라도), 그 사람들이 목말라 하는 어떤 것 (심지어는 그들이 당장 그 목마름을 모르고 있다고 하더라도)…
그런 것을 주는, people-driven approach가 더 필요하지는 않을까 그런 고민이다.

이번 KOSTA가 꼰대 conference가 되었다는 말은 전혀 아니다.
오히려 섬기는 강사님들과 간사팀의 자세와 정신, 독특하게 만들어내었던 분위기등은,
참석한 청년들이 정말 자신들을 위한 conference라고 느끼게 했던 것 같다.

Leave a Reply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