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년 집회에서는 이래저래 많이 눈에 띄는 일을 맡았다.
우선 저녁기도는,
올해 간사팀에서 각 강사님들과 contents를 조정하고, daily flow를 만들어내는 일들이 아무래도 벅찬 상황이었다. 그래서 일찌감치 저녁기도를 맡겠다고 약속을 했었다.
사실 정말 정말 웬만하면 전체집회 기도인도같은건 하지 않으려고 최선의 노력을 다 해왔었는데 금년에는 그렇게라도 도와야 겠다고 생각했다.
LGS는 원래 나는 인도자로 뛰지 않으려고 했는데,
등록인원이 예상보다 갑자기 늘어나고, 게다가 하시기로 하신 분들이 여러가지 이유로 못오시게 되면서, 어쩔수 없이 하게 되었다. 게다가 막판에 정말 LGS 인도자가 부족해서 내가 그냥 폭탄을 뒤집어 쓰자는 생각으로 내 그룹에 60명 넘게 배정을 하고 맡아버렸다.
이번에 follow-up에서도,
등록자가 작년보다 많이 늘었는데 follow-up offer되는 세션이 줄어들었다.
그래서 나름대로 이를 악 물고 세 그룹을 하겠다고 자원을 했고, 지금 세 그룹을 합하면 40명 정도가 함께 나와 follow-up 세션을 하고 있다.
이렇게 하다보니,
KOSTA에 참석한 사람들중 너무 많은 사람들에게 얼굴이 팔려버리는 상황이 되었다.
그냥 금년 KOTSA 프로그램 여기저기에서 너무 등장하게 된 것이다.
나는,
이렇게 해서는 내가 KOSTA를 오래 섬기지 못한다고 생각한다.
가능하면 앞에서 드러나지 않고,
꼭 필요한 사람들을 만나면서 그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것들을 하도록 해야,
오래 KOSTA를 섬길 수 있다고 생각한다.
적어도 내가 기억하는한,
KOSTA에서는 execution과 presentation은 계속 분리하려고 노력해왔다.
간사들을 철저히 익명성을 유지하고, 강사님들이 모든 스포트라이트를 받으시도록 계속 해왔다. 그리고 그렇게 잘 해왔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금년같이 이렇게 되면 나는 execution과 presentation에 둘 다 너무 적극적으로 involve하게 되어버리고, 이건 balance를 잃어버린 것이다.
내가 KOSTA에서 제일 잘 활용되는 것이라면,
나는 강사가 아니라 간사라고 생각한다.
그 이유는 내가 어느 한쪽에 더 뛰어나거나 그걸 더 좋아해서가 아니고…
강사는 그래도 노력해서 훌륭한 분들을 더 구할 수 있는데, 간사는 그게 훨씬 더 어렵기 때문이다.
꽤 오랫동안 KOSTA 관계된 모임 등에서는 ‘강사’가 되지 않겠다고 결심했었고 그걸 잘 지켜왔었다.
그런데 지난 몇년 그게 많이 무너졌고, 나는 그게 몹시 불편하다.
이렇게 해서는 오래가지 못한다는 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