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이 깜깜한 것 같은 상황을 마주할때, 선택은 둘중 하나다.
희망을 갖거나, 혹은 절망하거나. - 삶을 살다보면 반복해서 벽을 마주한다.
깊은 사망의 음침한 골짜기도 경험한다.
침체, 의욕없음, 우울함등에 압도 당하기도 한다. - 그런데 희망과 절망 사이에는 일종의 비대칭성이 존재한다.
어떤 상황에서 절망하기 위해서는 반복된 실패와 좌절이 필요한다.
딱 한번의 실패나 좌절로 절망하는 일을 흔하지 않다.
그러나 어떤 상황에서 희망을 갖기 위해서는 희미한 가능성만으로도 가능하다.
혹은 딱 한번의 승리의 경험만 있어도, 그 승리의 경험이 어두움에서 희망을 갖게하는 동기가 되기도 한다.
그러니, 좌절을 극복하는 것이 희망을 잃어버리는 것보다 훨씬 더 쉽다.
혹은 희망을 갖는 것이 좌절하는 것보다 훨씬 더 쉽다.
딱 한번의 승리의 경험, 그것이 희망의 근거가 된다. - 그래서,
어두움과 침체 속에서 아파하는 것이 한편 꼭 필요한 일이고, 그것을 무시할 것은 아니지만,
그 속에서 충분히 아파하는 것으로 희망을 갖게되지는 않는다.
희망은 그 딱 한번의 승리의 기억이 있을때 강력하게 작동한다. - 그런 의미에서,
예수님의 부활은 우리 그리스도인들에게 그 딱 한번의 승리의 근거를 제시해준다.
그것 때문에 소망을 갖게되는 것이다.
세상이 아무리 더럽더라도, 힘들더라도, 초월적 소망은 그렇게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