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벌 (6)

그러면, 한국과 미국에서 내가 경험했던 차이는 무엇이었을까.

일단, 한국이 미국보다 학벌에 대한 차별이 더 심하다는 것이 있을 것이다.
나는 그것이 꽤 심하다고 생각한다. 미국에 그런 것이 없는 것은 물론 아니다.

그런데,
또 다른 차이를 가지고 오는 요인은, high profile의 학생들이 모두 Harvard나 Stanford같은 학교만 가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경제적인 이유로 혹은 다른 선호의 이유로 Ivy와 그 level의 학교들만을 가지는 않는다.
내가 민우 대학을 research 하면서 알게된 것이었는데 실제로 내가 이름도 잘 알지도 못하는데 들어가기는 Ivy 들어가기만큼 어려운 Liberal Arts 학교들이 정말 많이 있었고, 또 그렇게 competitive하지 않는 학교라 하더라도 완전 high profile을 학생들이 가는 경우가 있었다.
물론 학교 ranking이 낮아질수록 high profile의 학생이 가는 비율도 낮아지지만…
한국과 같이 모든 학교들을 일렬로 줄 세워서 학교를 지원하는 것과는 달랐다.

내 박사과정 지도교수와 같이 엄청 똑똑한데도 MIT를 가지 않고 University of Iowa를 가는 사람이 미국엔 그래도 있는데,
사실 한국에서는 서울대 갈 실력이 되는데 강원대를 가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그래도 옛날엔 – 내 아버지 세대엔 – 좀 더 있었는데 요즘은 더 찾기 힘들다.)

또 그렇게 될 수 있는 큰 이유 가운데 하나는 미국에서는 대학마다 정말 특징이 있다.
어떤 학교는 아주 strict한 course work을 교육의 지표로 삼아서 교육하고, (그래서 core requirement가 많고)
어떤 학교는 반대로 아주 느슨하고 자유로운 course work을 짜 놓았다. (그래서 core requirement가 거의 없다.)

그래서 가령, strict한 course work을 원하는 사람은, 느슨한 course work의 학교의 커트라인이 더 높다 하더라도 자기의 선호에 따라서 더 낮은 ranking의 학교에 지원하는 것이다.

가령, 민우는 liberal arts education을 받기를 원했다. (그리고 나도 민우가 그런 교육을 받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민우의 이런 preference 때문에 내가 참 좋다고 생각했던 학교의 70% 이상은 고려 대상에서 제외되었었다.
물론 민우가 Harvard를 갈 실력이 되는데 못갔다 그런건 아니다. ^^
그렇지만, 실제로 민우가 Harvard를 갈 실력이 되었다 하더라도 나는 민우가 Harvard 가는 것은 막았을 것 같다. 그리고 MIT를 가겠다면 아마 결사 반대 했을 것이다. ^^

Leave a Reply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