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tra time?

미국의 노동자들이 일년간 노동시간이 1951년에 2031시간이었다.
2017년에는 그것이 1757시간으로 줄었다.
한국은 1980년 2864시간이던 것이 2017년에는 2063 으로 줄었다. (아마 요즘은 더 줄었을 듯)

어쨌든 이제는 사람들이 예전보다 일하는 시간이 줄어든 것은 사실이다.
이 자료에는 나오지 않았지만 산업혁명시대에 노동자들이 하루에 12~15시간 일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자료는 여기서 볼 수 있다

나는 이것이 물론 긍정적인 변화라고 생각한다.

이렇게 사람들의 노동시간이 줄어든 것은 결국 생산성(productivity)이 높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같은 시간을 일해도 더 많은 것을 해 내는 사회가 더 되어가고 있는 것이다.

인공지능이나 여러 기술의 발전은 사회의 생산성을 더 높여줄 것이고, 어쩌면 사람들의 평균 노동시간은 더 줄어들것이다.

그런데…현대인들이 그 남는 시간을 어떻게 활용하는가 하는 것을 생각해보면,
많은 경우 ‘탐닉’하는데 사용한다.

netflix/youtube 같은 영상 자료들을 탐닉해서 보거나,
낚시/등산/운동 등등의 야외 취미활동을 탐닉하거나,
컴퓨터 게임 같은 것에 탐닉 하는 것.

나는 이것들이 나쁘다고 당연히 생각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그것에 빠지고 탐닉하는 것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

일반화하기에는 분명히 위험성이 있긴 하지만,
나는 줄어든 노동시간으로 인해 얻어지는 시간을 활용하는 어떤 방식은…
대단히 건강하지 못하거나, 대단히 게으른 것이라고 생각한다.

몇천년전에 쓰여진 잠언 같은 책에서 이야기하는 그 게으름 말이다.
혹은 2천년 가까운 전통을 가진 7 deadly sins에서 이야기하는 그 게으름 말이다.

머리 속에 떠오르는 어떤 사람들이 분명히 있다.
자기가 해야할 일을 하지 않은채 취미활동에 매달리던 어떤 사람.
분명히 무너져 있는 자신의 어떤 부분을 등한시 한채 자기가 ‘좋아’하는 것에 자꾸만 탐닉하던 어떤 사람.

게으름을 그 사람의 잘못으로 모두 돌리긴 어렵다.
어떤 사람은 overwhelm한 상황 속에서 일종의 도피처로 게으름을 선택하기도 한다.
그렇지만….
그런 게으름은 건강하지 못한 것이라고 이야기해주어야 하지 않을까.
세상이 이야기하지 못한다면 교회에서는 최소한 그런 이야기를 해줘야 하는 것이 아닐까.

Leave a Reply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