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r Demo Unit

내가 시카고에 가 있는 동안,
우리 회사 사람들은 멋진 demo unit들을 만들어 냈다.

plastic 필름 위에 전자회로를 만들어서 디스플레이를 만든 것이다.
게다가 세계 최초로 Roll-to-Roll 이라는 획기적인 방법을 이용해서 만든 것이다.
우리 팀 사람들이 자랑스럽다!

우리가 만드는 display는 옷 위에 붙여서 사용할 수 있는…
말하자면 손목시계같은 형식으로 디스플레이를 붙일 수 있는 모델인데,
아직은 그렇게까지 작게 만들지는 못했다.
첫번째 사진은, 우리 그룹 사람들이, 크게 만들어놓은 demo unit을 손목에 대보면서 ‘손목시계형 디스플레이’로 쓸만하다고 장난을 치는 모습.

사진을 잔뜩 찍으면서 즐거워하면서도,
사람들이 사진 몇개는 내게 이메일로 보내주어서, 시카고에서도 이 사진들을 볼 수 있었다.
지난 11일이었던가… 에는 우리 그룹 사람들이 다 함께 거하게 햄버거 파티를 하기도 했다.
비싼 음식도 아니었는데 어찌나 사람들이 좋아하면서 즐기던지…

우리 그룹 사람중 한 사람의 facebook에는 이 demo unit을 가지고 찍은 사진이 올라와 있는데,
이 display unit에 내 이름을 tag 해 놓았다. 이 display unit 뒤에 내가 있는 것이라나… I’m so honored.

참고로 맨 마지막 사진은, 우리 lab director (반바지 입은 사람)이 나온 것인데,
이 사람은 회사에 이렇게 입고 출근하고, 이렇게 입고 일하고.. 그런다.
이분에 비하면, 나는 매우 말쑥할 뿐 아니라, 패션 감각이 출중한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ㅎㅎ

  

Computer Game 보다 재미있다!

아침에 예배를 다녀와서,
오후에는 우리 가족이 근처 호수가에 가서 연날리며 놀았다.

우리 집 근처는 늘 바람이 많아 연을 날리기 좋은데,
어제는 모처럼 시간을 내서 함께 산책 겸 (약 1마일 정도 걷고) 놀이겸…

민우는 시간가는 줄 모르고 연날리기에 몰입했다.
컴퓨터 게임보다 훨씬 더 재미있다며 집으로 돌아가는 발걸음을 아쉬워했다.
(저녁에 잘때 보니, 선블락을 바르는 것을 깜빡해서, 안경자국이 얼굴에 생겼다. ^^)
엄마도 함께 했는데, 엄마 것 보다는 민우의 연이 훨씬 더 높이 떴다.

밝은 햇살 아래서,
함께 뛰기도 하고, 걷기도 하고, 연도 날리고, 이야기도 나누고…
마음이 따뜻해지는 오후였다.

아빠 will be mean…

몇달전에 찍었던 사진인데,
아침에 깨워서 잘 일어나지 않으면, 소리를 질러서 깨우겠다고 했더니,
민우가 자기 방에 있는 whiteboard에 이 사진과 같은 걸 그려놓았다.
잘 일어나겠다는 일종의 다짐일까, 아빠에 대한 반발일까. ㅎㅎ

KOSTA/USA-2011 등록 시작!

2011 KOSTA USA 홍보영상 from KOSTA USA on Vimeo.

KOSTA/USA-2011 conference의 등록이 시작되었습니다.
http://www.kostausa.org 로 가시면 등록하실 수 있습니다.

지난 몇 년 간 KOSTA/USA 에서는 우리의 삶과 하나님 나라의 관계에 대해서 다루어 왔다. 2008 년에는 우리의 삶의 방식이 하나님 나라에 근거해야 함을, 2009 년에는 세상 가운데서 용기를 갖고살아갈 수 있는 비결이 하나님 나라의 회복에 있음을, 2010 년에는 하나님 나라가 모든 민족과 우리삶의 전영역에 회복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나누었다.

그렇다면 회복된 하나님 나라는 어떻게 임하고 어떻게 우리의 삶 속에서 경험할 수 있는가?

우리는 예수의 제자들을 통해 이 질문의 해답에 대한 실마리를 얻을 수 있다. 예수의 제자들은 율법을 지키는 데에 집착한 바리새인의 방법을 따르지 않았고, 세상의 가치와 타협한 사두개인들의 방법을 따르지 않았고, 무력을 통한 권력 쟁취를 마다하지 않은 열심당원의 방법을 따르지 않았다. 오히려 예수의 제자들은 그리스도의 몸인 공동체 안에서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서로를 세웠다. 그리고 그공동체 안에서 예수께서 사셨던 삶을 살아냄으로서 완성될 하나님의 나라를 기대하였고, 또한 이미임한 하나님의 나라의 단면을 세상 가운데 보여주었다.

이처럼 하나님 나라의 삶을 세상에서 살아내고 드러냈던 제자들의 모습에서 우리가 관찰하고 배울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예수께서 그리스도인 공동체의 머리가 되신다는 사실은 예수의 인격이 우리의 내면의 변화의 궁극적목표에 자리잡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우리의 영적 성장과 성숙은 예수를 닮아가는 데에 그지향점을 두어야 한다. 먼저 마음의 결단을 통한 변화가 필요하다. 세상이 원하는 방법을 따르지 않겠다는 의식적인 결단 없이는 우리의 변화가 시작될 수 없다. 예수를 닮는 것은 이 결단으로 시작하여 우리의 삶 가운데 지속되는 과정으로서, 끊임없는 훈련과 자기부인을 필요로 한다. 예수의 인격이내면화 되고 예수께서 삶으로 보여주신 가치가 우리의 내면의 가치로 서서히 뿌리박기 위한 과정으로서, 우리는 끊임없이 그의 마음을 헤아리고 그가 사셨던 삶을 실천해야 한다.

하지만 예수를 닮고 그가 사셨던 삶을 따르는 데 있어서 개인의 영적 성장과 성숙은 우리의 궁극적인목표일 수 없다. 예수의 명령과 사도들의 권면은 언제나 공동체를 향한 것이었고, 바로 이 그리스도인 공동체는 기독교를 당시의 문화 및 타종교와 구분 짓는 것이었다. 우리의 영적인 훈련과 성숙은공동체를 바르게 세우기 위한 것이어야 하고, 그 결과로 이웃을 섬기는 것이어야 한다. 제자들의 모습을 되돌아볼 때에, 하나님의 나라는 예수께서 사셨던 삶을 살아내는 과정을 통해 예수를 닮아가는, 하나님 나라 백성들의 공동체를 통해 세상 가운데 전달됨을 알 수 있다.

우리가 예수의 가치를 내면화 하고, 내면화된 가치를 공동체 가운데 살아낼 때 드러나는 구체적인가치는 사랑이다. 사랑이라는 가치는 예수께서 계셨던 그레코로만 문화에서는 강조되지 않았지만, 성경은 사랑을 하나님 나라를 살아가는 백성들의 삶의 원리로 제시하고 있다. 예수께서는 사랑을 율법의 완성이라고 가르치셨고, 사도들 역시도 여러 은사 위에 사랑이라는 가치를 두었다. 이는 사랑없이는 공동체가 세워질 수 없기 때문이고, 더 나아가서는 하나님 나라가 완성될 때에 여타의 가치가사라질 것과 달리 사랑은 완성될 것이기 때문이다. 하나님의 나라가 완성되기를 바라고 기대하는 백성으로서, 우리는 사랑이셨던 예수의 인격을 닮아가야 하고, 또한 우리의 공동체는 사랑 안에서 예수 그리스도에게까지 자라가야 한다. 그리고 그 첫 걸음은 우리 각자가 예수의 삶을 더 깊이 묵상하고 그분의 삶을 조금 더 실천하는 데에서 출발한다.

우리는 2011 KOSTA/USA 를 통해, 마음의 변화 없이 실천에만 집착하는 율법주의를 넘어서, 우리의 내면을 다시 한번 깊이 돌아보고 그리스도를 닮은 사랑의 사람으로 자라가는 데에 초점을 맞추기를 원한다. 우리는 동시에 이 세상 문화에서 강조되는 무법주의의 오류를 넘어서, 그분을 더 깊이 닮아가기 위해 예수가 사셨던 삶의 본질을 깨닫고 그 삶을 살아나가기로 결단하기를 원한다. 마지막으로 우리 각자가 성숙하는 것을 넘어서, 서로 사랑함으로써 우리의 공동체가 머리되신 그리스도에게까지 자라가야 함을 깨닫기 원한다. 

천재소녀 권민우?

민우 방문 앞에는,
아빠가 쓸 수 있는 낙서판, 엄마가 쓸 수 있는 낙서판이 하나씩 걸려있다.

그곳에 내가 좀 복잡한(?) 수학 문제를 하나 써 놓았다. (뭐 고1 수준쯤 되는거니까… 대단한건 아니지만. ㅎㅎ)


그랬더니 민우가 아주 당당하게 답을 “1” 이라고 써 놓았다.
문제가 너무 쉽다는 듯… 옆에 smile 표시도 그려놓고.
아니 어떻게 알았을까.

우리 딸이 천재가 아닐까. ㅎㅎ

Dick Tracy Watch


우리 그룹에서 현재 만들고 있는 제품은,
US Army의 지원을 받아, 위의 그림에서 보는것과 같은 모양의 디스플레이를 만드는 것이다.
병사의 팔목에 감을 수 있는, 얇고 가볍고 휘어지는 디스플레이를 만들고, 바로 옆에는 flexible solar cell을 함께 붙여서 병사가 전장에서도 별도의 배터리 없이도 사용할 수 있는 display를 만드는 것이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hp labs의 twitter에 보니까, 우리가 만든 제품을 가지고  이제 곧 US Army에서 field test를 한다고 나와 있었다. (허걱 -.-;)

원문은 LA times의 뉴스 기사인데…
뒤져보니 작년엔 CNN 기사도 있었네.

흠…
US Army의 field test가 무엇을 의미하는 지는 모르겠는데…
신문 기사가 뻥튀겨져서 쓰여지는 것은… 한국이나 미국이나 마찬가지인 듯 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