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 (8)

마카베오하 7장에 보면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나온다.

안티오쿠스왕이 유대인들을 심하게 박해하였다.
그때 한 어머니가 일곱자녀와 함께 있었다.
그 어머니와 일곱자녀에게 이방인들은 돼지고기를 먹으라고 강요하였다. 그리고 그것을 먹지 않으면 보는 앞에서 고문하고 죽였다.

그 자녀 한 사람 한 사람이 모두 돼지고기 먹는 것을 거부하고 처첨하게 죽음을 당했다.
그러면서 그 어머니는 오히려 그 자녀들에게 용기를 주면서 당당하게 죽음을 마지하도록 이야기한다.
결국 그 자녀들은 한사람씩 그 형제와 어머니가 보는 앞에서 처참하게 고문끝에 처형을 당하고 어머니도 나중에는 죽음을 마지한다.

여기서 이 어머니와 일곱아이가 지키려고 했던 것은 무엇이었던가?
돼지고기를 먹지 않는 음식규례였다.

왜 돼지고기를 먹지 않았나? 그것은 그들에게 경계표지(boundary marker)였다.
돼지고기를 먹느냐 먹지 않느냐 하는 것이 그들이 하나님의 백성이냐 그렇지 않으냐를 가르는 기준이 되는 표지(marker)였던 것이다.

경계표지는 그런 역할을 한다. 그것 자체만으로 어떤 의미를 가지기 보다는, 그것이 경계표지로 주어졌을때 그 사람들에게 그것이 의미가 있게 되고 그것을 지킴으로써 identity를 지키는 역할을 한다.

나는 술이 지난 세대에 그리스도인에게 있어서 그런 경계표지 역할을 했다고 생각한다.
술 자체를 먹는 것이 어떤 의미가 있느냐 하는 것을 따지기보다는 그 경계표지를 지킴으로써 identity를 스스로 확인하고 지키는 것이다.

신약성경에서 복음서에 나타난 예수님의 말씀과 바울 서신 등에서는 경계표지를 지나치게 높이는 것을 많이 경계한다. 그 의미를 살피지 않고 형식만 남아있는 것에 대하여 아주 harsh하게 비판한다. 특히 바울은 할례 문제에 대해서 타협할수 없는 것이라며 할례 무용론(?)을 주장하고 할례를 이야기하는 것을 ‘다른 복음’이라고 정죄하기까지 한다.

그래서 그런 맥락에서 성경을 읽고 신앙을 받아들이는 사람들은 경계표지 자체가 부정적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나는 그 성경구절 등에서는 경계표지가 신앙의 본질인것과 같이 여겨지는 것을 경계하는 것이지 경계표지가 있다는 것 자체를 거부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