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흥의 시기와 침체의 시기 (8)

부흥의 시기에 많은 사람들이 함께 건강하고 거룩한 가치에 동의하도록 하는 ‘대중화’가 중요한 반면,
침체의 시기에는 헌신된 소수의 사람들이 만들어내는 ‘전문화’가 중요해진다.

이것은 바로 전에 언급한 깊어짐과 연관이 있다.

침체의 시기에는 세상의 영향력이 강력해지고, 그로인해 많은 사람들이 명목적이거나 marginal한 신앙을 갖게된다.
그런 사람들에게는 그 침체의 시기를 뚫고나갈 힘이 없다.
한편으로는 그 침체의 시기에 세상에 속한 사람들이 되어버리거나, 아니면 세상에 속하지는 못하면서 그저 groaning하는 모습에 남아있기 쉽다. 그 안에 하나님을 향한 불타는 마음도, 뜨거운 헌신도 없기 때문에 조금 더 힘을 내라, 함께 더 해보자는 식으로 독려해도 움직여지지도 않을 뿐 아니라 그것은 오히려 그들에게 독이되어버리고 만다.

헌신된 마음이 있는 사람들이라 하더라도,
침체의 시기에 모두 힘있는 자기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침체의 시기에 닥쳐오는 강력한 세상의 영향력은 정말 견뎌내기 어려운 것일 수 있다. 성령의 강력하게 일하심이 없는데 그 모든 무게를 개인이 각자의 ‘개인기’로 버티고 뚫고 나가라고 주문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그 심한 폭풍우 속에서 상처를 입는 사람들은 전투의 현장으로 내보내는 것보다는 많이 돌보아주어야 한다.

그러나,
이런 상황 속에서도 정말 뜨거운 헌신을 잃지 않고, 애통해하는 마음을 가지면서도, 부흥의 시기를 지나며 ‘기준’을 형성해온 어떤 소수의 사람들에게는 그 모든 침체시기의 부담을 어깨에 지도록 요청해야 할수도 있다.
그리고 자신이 처해있는 상황 속에서 말도 안되는 그 무게를 지도록 요청해야할수도 있다.

그런 사람들은, 자신과 그렇게 함께 하지 못하고 내상과 외상을 입어 쓰러져 있는 주변사람들에게 왜 너희는 나처럼 하지 못하느냐고 이야기해서는 안된다.
그저 이건 내가 해야할 일이다… 라고 생각하고 감당해야한다.

그것은 텅빈 교회안에서 설교를 해야하는 목회자가 될수도 있고,
학생들이 함께하지 않는 캠퍼스의 사역자들이나,
하나님 나라를 믿고 그 가치에 헌신하는 직장인이 될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