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tting things done

미국의 의료비가 참 많이 비싸다.
이건 뭐 워낙 잘 알려진 이야기이다.

이게 많이 비싼것을 가지고 사람들이 여러가지 이야기를 하는 것을 듣는다.
그러니까 영리를 목적으로하는 병원을 허가하면 안된다고 한국에서 이야기하는 이야기도 듣고,
사설 의료보험이 만악의 근원이라고 이야기하는 이야기를 듣기도 한다.
그리고 또 미국에서도 결국은 의료보험체제를 개혁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했던 Obama care같은 것도 있었고.

원칙적으로는 나는 동의하는 부분이 많이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미국에서 그걸 하는데는 정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어쨌든 현실적으로 개인의 자유, 자유로운 영리추구가 훼손되면 안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는 것이 사실이고, 그런 입장을 가진 major 정치집단이 있는 것이 사실이므로… 원칙과 이상을 가지고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쉽지는 않은 것 같아 보인다.

적어도 내가 지금 있는 회사에서는 그 문제를 조금 다른 방법으로 풀어보려고 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의료시스템 자체를 더 효율적으로 만들고, 병이 걸렸을때 그것을 치료하는것보다 병이 걸릴 위험을 줄임으로써 그 cost를 줄이는 쪽으로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는데에는 결국 새로운 innovation을 일차적으로 받아들여야하는 일선의 병원이나 의료보험회사의 저항이 그렇게 크지 않다.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만들면 결국 병원의 경영에 도움이 되고,
reactive(병을 치료하는 방식으로)하게 문제를 다루지 않고 proactive(병을 사전에 적극적으로 예방하는 방식으로) 문제를 다루어 cost를 낮추는 것은 의료보험회사들이 환영하는 방법인 거다.

그러면 이런 식으로 하면 소위 stakeholder들을 배제시키지 않고 그 사람들을 참여시키는 방식으로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게 정말 될까?
물론 나도 잘 모른다. 적어도 우리 회사에선 그걸 해보려고 이것저것 노력을 하고 있는 중인거고.

어떤 문제에 대해서 소위 ‘이념적 (idealogical) 접근’을 하는 정치집단을 보면 좀 답답하다고 느낄때가 있다. 이념적 접근을 큰 틀을 짜서 vision casting을 할때는 도움이 될지 모르나, 그 구체적인 실행방안이 부실하면 목소리는 크고 갈등은 키우고 일을 제대로 안되는 일들이 벌어지고 만다.

한국이나 미국에서,
진보진영이든 보수진영이든 모두 이런 우를 범하는 것을 자주 본다.

한국의 경우에는 박근혜 정부때 빛내서 집사라고 했던 거나… 문재인 정부에서 대출규제를 통해서 집값을 잡아보겠다고 하는 것 같은게 대표적인 예가 아닐까 싶다.

적어도 무엇인가를 execute하는 사람들은, 그냥 좋은 이상만으로 일이 된다고 생각하며 안된다.
그 이상을 현실적으로 이루어내는 창의적이면서도 혁신적인 실행계획들이 있어야 하고,
그것을 제대로 실행해내는 능력도 있어야 한다.

이건 정치나 행정의 영역에서만 보는건 아니다.

교회도 그렇다.

좋은 아이디어를 목소리 높여 이야기하고, 자신과 다른 입장을 가진 사람들을 신랄하게 비판하는…
소위 개혁적인 사람들에게서 자주 그런 아쉬움을 느끼곤 한다.

나도 그 얘기 다 공감하고 동의하는데…
그렇게 원칙만 이야기하지 말고 뭔가 한발작 더 나가는 이야기를 좀 해보면 좋지 않겠나… 싶은 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