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가랴 1:1-17

스가랴 1:1 다리우스 왕 이년 여덟째 달에, 주님께서, 잇도의 손자이며 베레갸의 아들인 스가랴 예언자에게 말씀하셨다.

2 “나 주가 너희 조상들에게는 크게 화를 내었다.

3 그러므로 너는 백성들에게 알려라. ‘만군의 주가 말한다. 너희는 나에게로 돌아오너라. 만군의 주가 말한다. 나도 너희에게로 돌아간다. 만군의 주가 말한다.’

4 너희는 너희 조상을 본받지 말아라. 일찍이 예언자들이, 만군의 주님께서 말씀하신다고 하면서, 너희의 조상에게, 악한 길과 악한 행동을 모두 버리고 어서 돌이키라고 외쳤다. 그러나 너희 조상은 나의 말을 듣지 않았다. 나의 말에 귀도 기울이지 않았다. 나 주의 말이다.

5 너희의 조상, 그들은 지금 어디에 있느냐? 그 때의 예언자들, 그들이 아직 살아 있느냐?

6 내가 나의 종 예언자들을 시켜서 너희 조상에게 명한 나의 말과 규례를 그들이 듣지 않더니, 마침내 형벌을 받지 않았느냐? 그제서야 그들이 돌아와서 고백하기를, 만군의 주님께서는, 우리가 살아온 것과 우리가 행동한 것을 보시고서, 결심하신 대로 우리가 마땅히 받아야 할 벌을 내리셨다고 하였다.”

7 다리우스 왕 이년 열한째 달에, 곧 스밧월 스무나흗날에, 주님께서 잇도의 손자이며 베레갸의 아들 스가랴 예언자에게 말씀하셨다.

8 지난밤에 내가 환상을 보니, 붉은 말을 탄 사람 하나가 골짜기에 있는 화석류나무 사이에 서 있고, 그 사람 뒤에는 붉은 말들과 밤색 말들과 흰 말들이 서 있었다.

9 그래서 내가 물었다. “천사님, 이 말들은 무엇입니까?” 내게 말하는 천사가 대답하였다. “이 말들이 무엇을 하는지, 내가 너에게 보여 주겠다.”

10 그 때에, 화석류나무 사이에 서 있는 그 사람이 말하였다. “이 말들은 주님께서, 온 땅을 두루 다니면서 땅을 살펴보라고 보내신 말들이다.”

11 그리고 말에 탄 사람들이 화석류나무 사이에 서 있는 주님의 천사에게 직접 보고하였다. “우리가 이 땅을 두루 다니면서 살펴보니, 온 땅이 조용하고 평안하였습니다.”

12 주님의 천사가 주님께 아뢰었다. “만군의 주님, 언제까지 예루살렘과 유다의 성읍들을 불쌍히 여기지 않으시렵니까? 주님께서 그들에게 진노하신 지 벌써 칠십 년이나 되었습니다.”

13 주님께서는 내게 말하는 천사를 좋은 말로 위로하셨다.

14 내게 말하는 천사가 내게 일러주었다. “너는 외쳐라. 만군의 주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신다. ‘나는 예루살렘과 시온을 몹시 사랑한다.

15 그러나 안일한 생활을 즐기는 이방 나라들에게는, 크게 화가 난다. 나도 내 백성에게는 함부로 화를 내지 않는데, 이방 나라들은 내 백성을 내가 벌주는 것보다 더 심하게 괴롭힌다.

16 그러므로 나 주가 이렇게 선언한다. 나는 예루살렘을 불쌍히 여기는 심정으로 이 도성에 돌아왔다. 그 가운데 내 집을 다시 세우겠다. 예루살렘 위에 측량줄을 다시 긋겠다. 나 만군의 주의 말이다.’

17 너는 또 외쳐라. ‘나 만군의 주가 말한다. 내 성읍마다 좋은 것들로 다시 풍성하게 될 것이다. 나 주가 다시 한 번 시온을 위로하겠다. 예루살렘은 다시 내가 택한 내 도성이 될 것이다.'”

(새번역)

1:1 In the eighth month of the second year of Darius, the word of the LORD came to the prophet Zechariah son of Berekiah, the son of Iddo:

2 “The LORD was very angry with your forefathers.

3 Therefore tell the people: This is what the LORD Almighty says: ‘Return to me,’ declares the LORD Almighty, ‘and I will return to you,’ says the LORD Almighty.

4 Do not be like your forefathers, to whom the earlier prophets proclaimed: This is what the LORD Almighty says: ‘Turn from your evil ways and your evil practices.’ But they would not listen or pay attention to me, declares the LORD.

5 Where are your forefathers now? And the prophets, do they live forever?

6 But did not my words and my decrees, which I commanded my servants the prophets, overtake your forefathers? “Then they repented and said, ‘The LORD Almighty has done to us what our ways and practices deserve, just as he determined to do.'”

7 On the twenty-fourth day of the eleventh month, the month of Shebat, in the second year of Darius, the word of the LORD came to the prophet Zechariah son of Berekiah, the son of Iddo.

8 During the night I had a vision–and there before me was a man riding a red horse! He was standing among the myrtle trees in a ravine. Behind him were red, brown and white horses.

9 I asked, “What are these, my lord?” The angel who was talking with me answered, “I will show you what they are.”

10 Then the man standing among the myrtle trees explained, “They are the ones the LORD has sent to go throughout the earth.”

11 And they reported to the angel of the LORD, who was standing among the myrtle trees, “We have gone throughout the earth and found the whole world at rest and in peace.”

12 Then the angel of the LORD said, “LORD Almighty, how long will you withhold mercy from Jerusalem and from the towns of Judah, which you have been angry with these seventy years?”

13 So the LORD spoke kind and comforting words to the angel who talked with me.

14 Then the angel who was speaking to me said, “Proclaim this word: This is what the LORD Almighty says: ‘I am very jealous for Jerusalem and Zion,

15 but I am very angry with the nations that feel secure. I was only a little angry, but they added to the calamity.’

16 “Therefore, this is what the LORD says: ‘I will return to Jerusalem with mercy, and there my house will be rebuilt. And the measuring line wilh be stretched out over Jerusalem,’ declares the LORD Almighty.

17 “Proclaim further: This is what the LORD Almighty says: ‘My towns will again overflow with prosperity, and the LORD will again comfort Zion and choose Jerusalem.'”

(NIV)

KOSTA/USA-2010 주제문

복음, 민족, 땅끝
 
“일어나라 빛을 발하라 이는 네 빛이 이르렀고 여호와의 영광이 네 위에 임하였음이니라. 보라 어둠이 땅을 덮을 것이며 캄캄함이 만민을 가리려니와 오직 여호와께서 네 위에 임하실 것이며 그의 영광이 네 위에 나타나리니 나라들은 네 빛으로, 왕들은 비치는 네 광명으로 나아오리라 (사 60:1~3)”
 
KOSTA/USA가 시작된 지 어언 25년이 되었다. 지난 25년 동안 KOSTA/USA를 통하여 하나님께서 하신 일들을 돌이켜보면, 그 안에 있었던 소중한 만남과 추억, 그리고 하나님의 세밀한 손길에 우리는 감격하게 된다. 무엇보다 KOSTA/USA를 이끌어왔던 ‘복음, 민족, 땅끝’이라는 모토가 한국 복음주의권에 시대적인 영향력을 끼쳤음을 감사드린다.
 
복음, 민족, 땅끝(삶과 신앙의 통합)은 지난 25년 전 KOSTA를 시작할 때부터 KOSTA 운동을 이끌었던 핵심가치(core value)였다. KOSTA/USA가 시작되었던 1986년의 상황을 돌이켜 보자. 당시 KOSTAN들은 유학생으로서 고된 삶 가운데 있었고, 암울했던 조국의 상황을 그저 멀리 타국에서 바라볼 수밖에 없는 형편이었다. 이들은 “1980년대를 사는 한국인 그리스도인에게 복음은 어떤 의미를 갖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매우 진지하게 고민했다. 그리고 그 대답은, 복음이 진정으로 한국 민족에게 소망이 되고, 그 소망을 세상에 선언하며 살아가는 사람들이 되기 위해 준비해야 한다는 엄숙한 소명이었다. 복음이 삶으로부터 괴리되고 신앙이 종교의 영역에만 국한되는 당시 기독교 현실의 이원론적인 폐쇄성을 극복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KOSTA 내부에서 나오기 시작했고, KOSTAN들은 삶의 현장에서 복음의 능력이 나타나게 하는 일에 헌신하기로 결단했다. 이런 고민과 결단은 지난 25년간 KOSTA/USA를 이끌어온 원동력이었다.
 
25년 이 지난 지금, ‘복음, 민족, 땅끝’은 여전히 우리가 고민해야 할 문제일까? 처음 KOSTA를 시작했던 선배들의 치열한 고민이 지금 우리에게도 여전히 유효한 것일까? 우리는 올해 KOSTA/USA를 통해 ‘복음, 민족, 땅끝’의 주제가 이 시대에 의미하는 바를 다시 한 번 되새겨 보고자 한다.
 
먼저 복음은 지금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있을까? 25년 전 복음이 우리 선배 KOSTAN들에게 소망이었듯, 여전히 복음이 우리의 소망임은 분명하다. 복음은 창조주의 선한 창조의지에서 벗어남으로 인해 파괴되었던 인간성이 회복될 길이 마침내 열렸다는 선포이자, 끊을 수 없는 죄의 악순환으로부터 비로소 자유를 얻었음을 알리는 선포이다. 하지만 복음의 진정한 의미는 개인적인 구원에 국한되지는 않으며, 자연, 사회, 문화, 학문 등 피조세계 전체가 고통으로부터 해방되었다는 우주적 선포인 동시에, 어그러진 이 세상에 빛의 역할을 하게 될 새로운 언약 공동체로서의 교회를 예수께서 세우셨다는 공동체적 선포이기도 하다. 즉, 복음은 우리가 추구해야 할 가장 궁극적 목표이자, 민족과 땅끝의 기초가 되는 포괄적인 가치인 것이다.
 
민족이라는 가치는 어떤 의미가 있을까? 우리는 하나님께서 우리를 한국인으로 태어나게 하신 이유가 있음을 믿는다. 특별히 일제 강점과 한국 전쟁, 가난과 독재 등의 고난 속에서 우리를 전세계에 디아스포라로 흩으신 목적이 있음을 믿는다. 다만 25년 전 우리 선배들은 한국인 그리스도인이라는 정체성을 조국을 섬기는 일을 통해 발현시켰다면, 이제 우리는 자민족중심주의나 국가주의와 같은 폐쇄성에 빠지지 않고, 타국에 있지만 한국인으로서 우리에게 부여된 탤런트와 성품을 사용해 우리 조국뿐만이 아닌 전 세계에 유익을 끼치는 일을 해야 한다고 믿는다. 한국인 그리스도인이라는 정체성은 폐쇄적이거나 이기적이기보다는, 개방적이고 진취적인 ‘섬김’의 정체성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땅끝이라는 가치는 우리에게 어떠한 의미를 지닐까? 복음은 우리로 하여금 자민족의 유익만을 추구하는 국수주의의 유혹에서 벗어나, 우리 민족에게 허락하신 복음의 복(blessing)을 전 세계의 모든 이들과 나눌 것을 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땅끝은 선교적인 의미를 가지는 가치이다. 그러나 땅끝의 의미는 단지 선교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복음은 언제나 우리가 정해놓은 경계(boundary)를 넘도록 요청한다. 예배당 안에서 이루어지는 편안한 종교행위로 신앙생활의 전부를 채우고자 하는 우리에게, 복음은 삶의 전 영역에서 그리스도를 주로 인정하는 것이 하나님의 뜻임을 이야기한다. 하나님 나라 백성으로서 우리의 사명은 예수 그리스도를 종교적 영역에서만 우리의 주(Lord)로 선언하는 것이 아니라 학문, 가정, 사회, 문화, 인간관계, 직장 등 삶의 전 영역(sphere)에서도 역시 우리의 주로서 선언하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25년 전 우리 선배들의 통찰은 여전히 이 시대에도 적용된다. 한 가지 역설적인 것은, 오늘날 우리가 이전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강력한 세속화 및 혼합주의(syncretism)의 도전 또한 맞이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원론의 극복이라는 명목으로 세상과 대화하려는 시도가 자칫 세속화나 혼합주의로 변질되는 것을 우리의 삶 속에서 흔히 발견할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삶과 신앙의 통합을 위해 이원론 및 혼합주의를 동시에 극복하고, 피조세계 전 영역에서 그리스도가 주되심을 선언한다는 것이 어떤 의미를 함축하는지 고민하는 것은 우리에게 남겨진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2010년, KOSTA/USA 25주년을 맞는 이때에 우리는 복음, 민족, 땅끝의 세 단어가 우리에게 던지는 메시지는 무엇이며, 또한 오늘 우리에게 새롭게 도전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깊이 있게 고찰해보고자 한다. 복음이 이 시대에 어떤 의미를 갖는지, 우리 민족에게 주신 복음의 사명이 어떤 것인지, 선교적인 의미로서의 땅끝의 가치, 또한 피조세계 각 영역의 복음으로서의 땅끝의 가치가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갖는지 고민해보고자 한다. 하나님께서는 우리의 죄로 인해 뒤틀려진 이 세상을 그냥 내버려두지 않으시고, 유대 민족을 택하시고 그들과의 언약으로 하나님이 여전히 이 세상을 통치하시는 분이심과 궁극적으로 온 인류를 구원하시고자 하는 신실하심을 표현하셨으며, 그 언약은 마침내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성취되었다. 이제 우리는 이 어그러진 세상 가운데 빛으로 부름받은 새로운 언약 공동체인 교회를 향하신 하나님의 음성에 겸허히 귀를 기울이고자 한다.

Dave Packard’s 11 Simple Rules

1. Think first of the other fellow. This is THE foundation

— the first requisite — for getting along with others.

And it is the one truly difficult accomplishment you must

make. Gaining this, the rest will be “a breeze.”

2. Build up the other person’s sense of importance.

When we make the other person seem less important, we frustrate

one of his deepest urges. Allow him to feel equality or superiority,

and we can easily get along with him.

3. Respect the other man’s personality rights. Respect

as something sacred the other fellow’s right to be different

from you. No two personalities are ever molded by precisely

the same forces.

4. Give sincere appreciation. If we think someone

has done a thing well, we should never hesitate to let him

know it. WARNING: This does not mean promiscuous use of obvious

flattery. Flattery with most intelligent people gets exactly

the reaction it deserves — contempt for the egotistical

“phony” who stoops to it.

5. Eliminate the negative. Criticism seldom does

what its user intends, for it invariably causes resentment.

The tiniest bit of disapproval can sometimes cause a resentment

which will rankle — to your disadvantage — for years.

6. Avoid openly trying to reform people. Every man

knows he is imperfect, but he doesn’t want someone else trying

to correct his faults. If you want to improve a person, help

him to embrace a higher working goal — a standard, an

ideal — and he will do his own “making over” far more

effectively than you can do it for him.

7. Try to understand the other person. How would

you react to similar circumstances? When you begin to see

the “whys” of him you can’t help but get along better with

him.

8. Check first impressions. We are especially prone

to dislike some people on first sight because of some vague

resemblance (of which we are usually unaware) to someone else

whom we have had reason to dislike. Follow Abraham Lincoln’s

famous self-instruction: “I do not like that man; therefore

I shall get to know him better.”

9. Take care with the little details. Watch your

smile, your tone of voice, how you use your eyes, the way

you greet people, the use of nicknames and remembering faces,

names and dates. Little things add polish to your skill in

dealing with people. Constantly, deliberately think of them

until they become a natural part of your personality.

10. Develop genuine interest in people. You cannot

successfully apply the foregoing suggestions unless you have

a sincere desire to like, respect and be helpful to others.

Conversely, you cannot build genuine interest in people until

you have experienced the pleasure of working with them in

an atmosphere characterized by mutual liking and respect.

11. Keep it up. That’s all — just keep it up!

정말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한다.

HP의 founder중 한명인 David Packard가 정리한 일터에서의 11가지 원칙인데…

Oh Come, Oh Come, Emmanuel

이번 성탄에는,
이 노래를 유난히 많이 흥얼거렸다.

깨어진 세상속에 오신 평화의 왕…
Shalom을 마침내 이땅에 구현하시는…

모든이에게 그 Shalom이 가득한 성탄이 되길…

Oh, come, oh, come, Emmanuel,
And ransom captive Israel,
That mourns in lonely exile here
Until the Son of God appear.
Rejoice! Rejoice! Emmanuel
Shall come to you, O Israel!

Oh, come, our Wisdom from on high,
Who ordered all things mightily;
To us the path of knowledge show,
and teach us in her ways to go.
Rejoice! Rejoice! Emmanuel
Shall come to you, O Israel!

Oh, come, oh, come, our Lord of might,
Who to your tribes on Sinai’s height
In ancient times gave holy law,
In cloud and majesty and awe.
Rejoice! Rejoice! Emmanuel
Shall come to you, O Israel!

Oh, come O Rod of Jesse’s stem,
From ev’ry foe deliver them
That trust your mighty pow’r to save;
Bring them in vict’ry through the grave.
Rejoice! Rejoice! Emmanuel
Shall come to you, O Israel!

Oh, come, O Key of David, come,
And open wide our heav’nly home;
Make safe the way that leads on high,
And close the path to misery.
Rejoice! Rejoice! Emmanuel
Shall come to you, O Israel!

Oh, come, our Dayspring from on high,
And cheer us by your drawing nigh,
Disperse the gloomy clouds of night,
And death’s dark shadows put to flight.
Rejoice! Rejoice! Emmanuel
Shall come to you, O Israel!

Oh, come, Desire of nations, bind
In one the hearts of all mankind;
Oh, bid our sad divisions cease,
And be yourself our King of Peace.
Rejoice! Rejoice! Emmanuel
Shall come to you, O Israel!

Did Christianity Cause the Crash?

The Atlantic 잡지의 이번달 기사중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있었다.

http://www.theatlantic.com/doc/200912/rosin-prosperity-gospel

몇가지 이유로 이들의 분석에 동의하기 좀 어렵긴 하지만… (prosperity gospel이 그렇게 영향력이 크지도 않고… 이들이 majority도 아니라는 차원에서)

이 글을 읽으며
내가 그리스도인임이 부끄러웠다. -.-;

노예의 쇠사슬 자랑

노예가 노예로서의 삶에 너무 익숙해지면
놀랍게도 자신의 다리를 묶여있는 쇠사슬을 서로 자랑하기 시작한다.
어느 쪽의 쇠사슬이 빛나는가, 더 무거운가 등.

그리고 쇠사슬에 묶여있지 않은 자유인을 비웃기까지 한다.
하지만 노예들을 묶고 있는 것은 사실 한 줄에 쇠사슬에 불과하다.
그리고 노예는 어디까지나 노예에 지나지 않는다.

과거의 노예는, 자유인이 힘에 의하여 정복당해 어쩔 수 없이 노예가 되어버렸다.
그들은 일부 특혜를 받거나 한 자를 제외하면
노예가 되더라도 결코 그 정신의 자유까지도 양도하지는 않았다.
그 혈통을 자랑하고 선조들이 구축한 문명의 위대함을 잊지 않은 채, 빈틈만 생기면 도망쳤다.
혹은 반란을 일으키거나, 노동으로 단련된 강인한 육체로 살찐 주인을 희생의 제물로 삼았다.

그러나 현대의 노예는, 스스로 노예의 옷을 입고 목에 굴욕의 끈을 휘감는다.
그리고 무엇보다 놀랍게도, 현대의 노예는 스스로가 노예라는 자각이 없다.
뿐만 아니라 그들은 노예인 것을 스스로의 유일한 자랑거리로 삼기까지 한다.

By Amiri Baraka, formerly known as Leroi Jones

@ 인터넷에 떠도는 것인데 마음이 하도 다가와서 원문을 찾으려 했지만 찾을 수 없었다. 누구든 찾으면 알려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