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개념, 하위개념

아래 글은,
최근… ‘친북좌파척결’의 극우 정치운동을 열심히 하면서, 그것을 신앙으로 여기고 있는, 내가 아끼는 한 친구와 나눈 이메일 대화중 일부를 옮긴 것이다.
신앙이 정치성에 종속되지 말아야 할 것에대한 내 논증인데… 아마 내 이런 논증에 동의하지 않는 사람도 많이 있을 듯. ^^ 
(반론, comment 환영합니다. ㅎㅎ)

=====

정치적 신념은, 그 당시 처한 상황 속에서 무엇이 최상의 솔루션을 제공하는가 하는 것에 대한 분석에 근거하는 경우가 많지.

가령, 너도 네 이메일에서 썼지만, 어떤 사람은 북한의 위협이 우리의 가장 큰 문제라고 생각하지만, 다른 사람은 경제정의가 더 큰 문제라고 생각하잖아. 또, 북한의 주민들을 어떻게 하면 그 폭압과 부조리에서 해방시켜낼 수 있을까 하는 접근에 대해서도, 북한을 점진적 개방으로 이끌어야한다는 입장으로부터 북한을 강하게 몰아서 붕괴에 이르게해야한다는 입장까지 다양한 스펙트럼이 있지.
이런 상황에서 어떤 결정을 하느냐… 하는 것은, 어떻게보면 100% 충분한 과학적 data를 바탕으로 결정하기 어렵다고 할 수 있어. 왜냐하면 미래에 대한 모든 information을 우리가 다 알고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A 라는 결정을 하면 A’ 이라는 결과가 나온다고 100% 확신을 가지고 이야기할 수 없기 때문이지. 물론 어떤 입장을 견지할 때에는, 그 입장이 충분히 내적 통일성 (integrity)를 갖는지, 가능한 많은 data를 바탕으로 한 것인지 등등을 evaluate 해봐야 하겠지.
이러한 불확실성 때문에, 그리고 현실과 그것에 대한 해결책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이 존재하기 때문에… 정치적 신념을 이야기할때에는, 자신과 다른 정치적 신념을 가진 사람에 대해 관용을 갖고, 서로 대화를 통해서 풀어나가는 작업이 중요할 수 있지. 물론 그것이 어려울 때도 많지만.
일반적으로, 이러한 대화를 거부하는 그룹을 극우 혹은 극좌라고 이야기하는 거지.
그런데 신앙은, 그것보다 더 상위의 개념이야. 정치적으로 진보적이던 보수적이건 간에, 같은 신앙을 가질 수 있지. 신앙은 세상과 자신을 바라보는 가장 기본적인 가치이기 이잖아. (이 argument에 동의하지 않는 신앙인도 물론 있을 수 있지. 그렇지만 너같이 보수적인 신앙을 가진 사람이라면 내가 이야기하는 이 notion에 동의하리라 생각해.)
그런데, 정치적 신념을 신앙과 연결시키게되면, 하위의 개념과 상위의 개념을 연결시키는 과정에서 상위 개념의 범위가 축소되는 결과를 낳게 되지.
가령 예를 들면, 일반적인 인과론(논리 체계)과 논리 라는 상위의 개념이 있고, 그 인과론과 이성을 바탕으로 인간이 세상을 기술하는 방법으로 뉴튼 역학을 발견해 내었지? 뉴튼 역학은, 매우 powerful한 것이지만, 그것이 인과론과 이성이라는 a priori concept을 대체하는 것은 아니잖아. 만일 여기서 뉴튼 역학을 거부하는 것은 인과론을 거부하는 것이다 (상위 개념과 하위 개념을 바로 동일시 하는 거지) 라고 이야기하면, 그 순간 인과론의 범위가 뉴튼 역학이라는 하위 개념으로 좁아져 버리게 되지. 그래서, 가령, 뉴튼역학으로 설명이 되지 않지만 인과론이라는 더 큰 개념 안에서 설명이 되는 상대성 이론 같은 것을 받아들일 수 없게 되는 거고. 
신앙과 정치적 신념도 비슷하게 설명할 수 있는 것 같아.
극우(좌)파의 사상 = 기독교 신앙 이라는 등식을 성립해버리면, 극우(좌)파의 사상을 통해서 기독교 신앙이 강해지는 것이 아니라, 극우(좌)파의 사상의 수준으로 기독교 신앙이 강등되게 되어 버리지.
역사적으로도, 바로 그러한 이유 때문에, 정치적 신념과 신앙을 동일시 했을때마다, 교회는 힘을 잃어버렸고, 복음의 영광이 가리워졌어. 
로마의 콘스탄틴 대제때 그랬고, 중세교회가 그랬고, 국교화되었던 개신교회들이 그랬고, 히틀러를 지지했던 독일교회나… 그리고 나는 지금의 한국 교회에서도 그런 것을 보면서 많이 우려하고 있어. 그리고… 네 이메일을 읽으면서도 그런 불편한 마음이 있었던 것이고.

 

4 thoughts on “상위개념, 하위개념”

  1. 기독교가 역사적으로 우파의 신념이기도 했다가 좌파의 신념이기도 했다가 했으니… 간사님말씀에 동의하는데요… 그럼 어떻게 건전한 신앙과 건전한 정치의식을 유지하는 것인지… 서로 영향을 주기 마련인데 말이예요…

    1. 참 쉽지 않은 일이죠?
      이것에 대해서도, 제가 알기로 여러가지 견해와 논리들이 있는 것 같습니다만,
      제가 요즘 가지고 있는 관점은요…

      1. ‘하나님 나라’라는 realm이 ‘이 땅’이라는 realm보다 상위의 개념이라는 것을 견지하고

      2. Christ transforming culture vs. Christ against culture의 건강한 balance를 찾고

      3. 진취적인 자세와 겸손한 자세의 balance를 찾는 과정 속에서

      적절한 선을, 그 시대에 맞게 adjust해 나가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너무 뜬구름 잡는 것 같이 써서… 좀 그렇지요? 기회가 되면 좀더 이것에 대해서도 제 생각을 더 정리해서 한번 올리겠습니다. 좋은 생각 있으면 언제든 나누어주세요.)

  2. 그래요… 참 힘든 문제인거 같아요… 건전한 신앙이 있는 사람들도… 정치에 참여할때 자신이 하는 정치가 건전한 신앙으로 driven된 것이라 강하게 믿기 때문에, 아니 자신의 정치가 하나님의 뜻을 실천하는데 쓰여져야 한다고 믿기때문에… 참 판단하고 참여하기가 힘든 듯 합니다.

    1. 네…
      그런데, 한가지 그렇지만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은, 그리스도인의 정치참여 자체가 의미가 없거나 나쁜 것은 아니라는 겁니다.
      자신의 신앙의 양심에 따라, 옳다고 생각하는 것을 이야기하고 그것을 성취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것은 중요하겠지요.
      다만 그것이 곧 하나님나라의 성취인 것으로 호도한다거나, 그 관점이외의 것이 다 비성경적인 것으로 매도하지 말아야 하겠고요.

Leave a Reply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