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선 한국

이번 출장을 다녀오기전까지는 제대로 잘 몰랐는데,
내가 알고보니 출장을 약간 즐기기도 했었다. ^^
(뭐 당연히 그렇겠지. 그거 죽도록 못하겠다 싶으면, 시키는 사람도 없는데 내가 일을 만들어서 출장 가야한다고 주장해서 그렇게 출장을 또 가겠나… 쩝.)

사실 비행기 오래 타고, 빡빡한 일정에, 시차/잠과 싸워야 하고…
그런데 내가 출장의 어떤 면들을 좋아했나.

생각해보면, 우선 가장 좋아했던 것은,
‘다른 문화’를 만나서 그 사람들과 이야기하는 것을 즐겼던 것 같다.
그러면서 그 사람들의 생각을 들어보는 것이 참 흥미로웠다.

같은 나라를 여러번 가더라도,
가서 그 사람들과 식사도 하고, 어떻게 사는 지도 보고/듣고, 좀 더 여건이 되면 그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세계관들을 듣는 일들이 참 좋았었다.

그리고 또,
출장을 가서 먹는 음식을 즐겼던 것 같다.

사실 집에 있을땐,
혼자서 10불짜리 설렁탕 한그릇 사먹는 것도 그렇게 쉽지 않다.
가서 먹는 것이 번거롭기도 하지만, 솔직히 그거 10불내고 먹는게 많이 아깝다. -.-;

그런데,
출장을 가면 어차피 회사에서 돈을 대어주니,
나름 좀 더 비싼 음식을 먹기도 한다.
일본에 가서는 한끼에 50불어치 넘게 사 먹은 적도 있었다.
저녁에 일을 끝내고 혼자서 야키니쿠 (고기 구이) 집에 가서 막 먹었었다. ^^
– 일본 야키니쿠 집은 사실 꽤 비싸다.

그런데,
이번에는 한국 출장을 가서,
거기서 일하는 사람들과 대화를 나누면서 그리고 고속도로 운전을 혼자 해서 구미와 인천을 왔다갔다 하면서,
마치 내가 외국의 어떤 나라에서 느끼는 낮설음이랄까, 생소함이랄까… 그런게 느껴졌다.

하긴, 내가 한국을 떠나온지 벌써 20년이 더 지났으니… 그렇게 느낄만 하지.. 싶다가도,
한국이 낮설게 느껴지는게 영 낮설었다.

일본의 사원(temple)에서

나는 일본의 불교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한다.
대충 알기론, 어쨌든 일본의 불교는 한국을 통해서 전래되었고, 그 후에 일본에 상당히 ‘토착화’되었다는 수준으로만 알고 있다.

출장의 모든 일정을 다 마치고 미국으로 돌아오는 비행기를 타기 전날, 오후에 시간이 3시간 정도 남았다.
사실 출장 내내 몸살로 고생을 꽤 했고, 천식 때문에 또 계속 고생을 해서 사실 그냥 호텔에 가서 무조건 좀 쉬고 싶었다. 그래서 호텔방으로 들어가서 한 30분 누워 있다가, 에이… 그래도… 하고서는 옷을 다시 챙겨 입고 호텔에서 제일 가까운 사원(temple)에 ‘관광’을 가기로 했다.

내가 묵었던 곳은 쿄토 역 바로 옆에 있는 호텔이었는데, 거기서 걸어서 15분 정도 가면 꽤 큰 사원이 하나 있었다. 사실 쿄토는 도시 구석 구석에 이런 사원들이 흩어져 있다. 그중 어떤 것은 더 크고, 어떤 것은 더 작지만, 그 수와 규모를 보면 압도당할 수준으로 대단하다.

IMG_20160512_150814

내가 갔던 사원은 Higashi-Hongaji (東本願寺) 라는 곳이었다.
일단 모든 건물의 규모가 장난이 아니게 컸다.
한국과 같이 잦은 전쟁을 겪어서 큰 규모의 건축물이 남아있기 어려운 상황을 일본은 겪지 않았다는 것을 감안한다 하더라도, 이렇게 큰 규모의 사원을 쿄토라는 작은 도시에 잔뜩 지어놓았다는 것이 대단히 인상적이었다.

또 인상적인 것은, 그곳에서는 실제로 스님으로 생각되는 사람들이 실제로 염불을 하고 있었는데, 그 옆에서 기도를 하는 젊은이들이 대단히 많았다는 것이었다. 그냥 평일 오후였는데도 말이다.

실제로 일본 사람들을 만나서 대화해보면, 이 사람들이 ‘종교적’이라는 느낌을 잘 주지 않는다.
어차피 아주 가까워지기 전까지는 자신들의 속내를 잘 이야기하지 않으므로 실제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종교성을 드러내는 것을 불편하게 생각할수도 있겠으나…
이 사람들의 행동하는 방식이나 결정의 방식등이 종교적으로 여겨지는 일은 사실 별로 접하지 못했다.

조금 일을 같이 하다가,
문득, 일본의 문화와 종교에 대해 그 사람들에게 물어볼 기회가 좀 있었는데,
대부분의 일본 사람들이 대단히 애매하게 대답을 했었다.
불교, 신토 그런 것에 대해 얼만큼 너희들이 serious하다고 생각하느냐고 물어보면, 대개는 빙긋 웃으면서 우리의 ‘문화’라도 대답을 많이들 한다.

평일 오후에, 이런 큰 사원에 와서 젊은이들이 이렇게 기도를 하고 염불을 옆에서 듣는 것을…
그냥 ‘문화’로 이해할 수 있을까?

그게 그냥 ‘문화’라면 지나치게 그 문화에 종교가 들어와 있는 것은 아닐까?

혹시, 다른 사람들이 보기에, 서구문화가 이런 식으로 기독교의 영향을 받아 존재하고 있다고 느낄까?

내게 있어 기독교는 어느정도까지 문화이고 어느정도까지 종교이고 어느정도까지 세계관일까?

이런 여러 생각들이 스쳐지나갔다.

사실 대부분의 일본 회사들과 일을 할때 가장 힘든 점은 이 사람들이 많은 bureaucracy를 가지고 있고, 그것을 깨는 것을 대단히 어려워한다는 것이다. 뭐 bureaucracy라고 할 수도 있겠고, 어떤 경우에는 protocol이라고 할수도 있겠다.
어쨌든, 자신들이 해왔던 것을 바꾸는 것을 대단히 힘들어 한다.
그런데, 쿄토에 위치한 회사들과 일을 할때엔, 적어도 내 경험으로는, 유난히 그런 성향이 더 심하다는 느낌을 받곤 했다. 실제로 그 사람들도, 자신들은 코토에 위치한 회사이고, 전반적으로 ‘보수적’이다. 라는 표현을 쓰기도 했었다.

어떤 의미에서 종교성은 이런 식으로 보수성을 수반하게 되는 것일까 하는 생각도 좀 해보게 되었다.

세시간 남짓 일본 쿄토 중심부에 있는 사원에 들러 잠시 머리를 식혀보려 했으나,
많은 생각과 복잡한 질문들만 머리에 가득 담고 돌아왔다.

Output이 딸리는…?

나는 재료공학을 전공했지만, 쓰잘데 없는 코딩을 하는 걸 좋아했었다.

대학 2학년 때 였나…
룸메이트와 함께 어드벤처 게임을 만들어 보겠다고 열심히 그 당시 ForTran을 가지고 밤을 새워가며 프로그램을 짜기도 했었다. 그때 아마 Back To the Future를 어드벤처 게임으로 만들어 보려고 했던 것으로 기억한다. ^^

그때는 학교 LAN에 연결된 Unix system이었는데,
물론 지금과 같은 인터넷은 아니었고…
중간고사 끝내고나서 눈이 벌개져가지고 컴퓨터 실에 앉아서 그짓을 하고 있었던 기억이 난다.
그 후에 전공공부가 바빠지고 점점 코딩을 할 기회가 없어져서 이제는 아주 간단한 거 하나 짜라고 해도 할 자신이 없다.

그런데,
그때 쪼금만 복잡한 계산을 하려고 한다거나, 무슨 무한루프 같은 걸 잘못돌리면서 screen에 그걸 표시하려고 하면 많이 error가 나곤 했다.
이제는 솔직히 말해서 그 error의 정식 명칭이 무엇인지 잘 기억도 나지 않는데,
대충 풀어서 설명하자면, 계산을 할수는 있는데 그걸 화면에 표시하려니 표시하는 기능이 딸린다는 error 였다.
말하자면 머리 속에서는 생각이 많은데 그걸 말로 표현할 수 없다는 error라고나 할까.

뭐 좀 길고 지루하게 설명을 했지만,
사실 내가 늘 그렇다.

어떤 사람은 매일 이렇게 글 쓰는게 힘들지 않는냐고 물어보는데,
뭐 글의 quality를 높게 쓰려면 좀 시간이 들겠지만..
이런 식으로 5-10분만에 주르륵 써내려가는 글을 쓰는건 사실 그렇게 어렵진 않다.

게다가,
내가 글로 쓰고 싶은 생각들의 절반도 글로 담아내지 못하니,
글을 쓸 주제가 딸리는 것도 아니다.

말하자면 output이 딸리는 것이다.

그런데, 이게 ‘말’의 영역에서는 더 심각하다.
말로 내 생각을 표현하는 것은 내가 글로 내 생각을 표현하는것의 거의 20% 수준도 되지 못하는 것 같다.

그냥 대충 말을 몇마디 해 보아서,
저쪽에서 금방 이해를 하는 것 같아 보이지 않으면,
나는 그냥 그 말하는 것 자체를 포기해버리곤 한다.
내 언어 능력 (output)이 딸리는 것이다.

나는 내게 이런 문제가 있다는 것을 꽤 오래전부터 알고 있었다.
그래서 어떻게든 내 글쓰기나 말하기의 능력을 향상시켜보려고 노력을 많이 했었다.
그러나, 이게 잘 향상이 되질 않는 모양이다.
여전히 내게는 그런 문제가 계속 있다.

그래서 나는 많은 경우,
어떤 대화를 할때, 혹은 여러사람이 이야기를 할때,
그냥 가만히 듣고 있기만 한다.
머리 속에서 돌아가는 생각을 도무지 짧은 시간에 말로 표현해 내기가 힘들기 때문이다.
(그래서 오해를 많이 받을때도 꽤 있다.. 무시를 한다거나 말을 씹는 것으로.)

한동안은 내 이런 문제를 내 function의 문제로 인식하고 그것을 개선하고 고치려는 노력을 했었다.
그런데 최근에는, 이것이 function의 문제라기 보다는 내 ‘마음’의 문제임을 조금씩 발견하고 있다.

내 글쓰기나 말하기를 개선해야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함께 하는 사람을 위해서 생각을 slow-down하는 사랑을 갖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사랑 없음의 문제…

따뜻함

한국에 오랜만에 갔더니만,
몸살에다가, 오랜만에 도진 천식 증상 때문에 완전 고생했다.
아직도 이놈의 천식은 나를 마구 괴롭히고 있다.
(이번 주말에 교회 수양회 설교가 걱정이다. -.-;)
나는 정말 한국이 나를 반기지 않는 모양이다.

그래도,
걱정해주는 동생으로부터 약도 챙겨 받고,
어머니께서 해주시는 따뜻한 밥이 약이 된 것 같다.
참… 나이가 50이 다 되어서… 정말 한참만에 한국에 가서 호사를 누린 셈이다.

내가 기침을 좀 하니까,
많이 걱정해주고, 위해서 부지런히 챙겨주기도하는 가족의 사랑을 받는게 참 감사했다.

오랜만에,
이제는 연세가 많이 드신 부모님을 자주 찾아뵙지도 못한 죄책감을 좀 씻어보고자 하는 마음이 이번에 있긴 했으나,
오랜만에,
가족의 사랑을 따뜻하게 받고 오게 되었다.

예전 같으면 오랜만에 가서 골골하기만 하고… 에이… 이게 뭐야…
뭐 그런 생각이 들었겠지만,
이번엔 그냥 가서 그 따뜻함을 가만히 받아보려 노력했다.

그냥 그렇게 가족의 사랑의 따뜻함을 마음에 담고 일본으로 넘어왔다.
따뜻하다…
참 오랜만에, 따뜻하다.

출장와서 아프기

출장 오기 전에 며칠 좀 골골 아팠었는데,
출장을 와서 다시 또 좀 골골 하고 있는 중이다.

한동안 괜찮았던 천식 기침도 좀 하고 있고,
몸살 증상이 어쨌든 계속되고 있다.

이번 금요일까지 계속 일정이 있는데,
음… 예전처럼 출장 기간 중에 짱짱하게 돌아다니지 못하는 나이가 된건가 싶기도 하고.
그래도 한국에서 동생이 주치의 노릇을 해 주어서 약도 먹고, 천식에 관계된 inhaler도 쓰고,
그래서 그럭저럭 견딜만 하긴 하다.

매년 시간이 지날수록,
내 몸을 혹사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많이 배우고 있다.

한동안 띄엄 띄엄 블로그를

오늘부터 (뭐 사실은 어제부터이지만… 여기 도착한건 5월 5일 이므로) 한동안 아시아쪽을 돌아다닙니다. (한국-일본)
어떤 사람들이 하듯이, 나 어디 간다. 아는 사람들 만나자… 뭐 그렇게 할 여유라도 있으면 좋으련만,
가면 그렇게 반가운 사람 만날 시간 낼 여유도 없을 것 같습니다. 늘 출장갈때마나 그렇듯이.

출장 기간동안,
매일은 아니어도 가끔 한번씩은 글을 올리겠습니다. ^^
사실 쓰고 싶은 말들을 참 많긴 한데…

한국에 출장을 가게되면,
한번 보자고 이야기해놓은 사람들이 참 많지만,
그리고 어떻게든 한번 만나보고 싶은 사람들도 많지만,
그렇게 하지 못하는게 늘 죄송하고 안타깝습니다.

어쨌든,
잘 다녀오겠습니다~ 꾸벅~~

0.04%의 비밀(?)

인터넷을 뒤져보면,
Google에 지원하는 사람들중 0.04% 가 최종적으로 offer를 받게된다는 figure들이 떠돈다.
이 기사와 같이.

그런데,
내가 막상 inside에서 듣는 것은 또 이야기가 많이 다르다.
Google sofeware engineer들은 좀 사정이 다른 것 같지만,
적어도 내가 다니는 회사 쪽에서는 정말 마음에 드는 사람 뽑는게 그리 쉽지는 않다.
우리는 generalist를 뽑기 보다는 specialist를 뽑아야 하고, 그 분야가 대단히 specific하게 define 되기 때문에 정말 딱 맞는 사람 찾는게 쉽지 않다.
(내가 job searching을 할 때 역시, 내 skill set을 딱 원하는 position을 찾는게 참 쉽지 않았었다.)

어쨌든,
내가 들은 이야기는 대충 이렇다.
최종적으로 뽑게 되는 사람들의 거의 80~85% 정도는 소위 ‘sourcing’에 의해서 연결되는 사람들이다.
다시 말하면 그 사람들이 회사에 apply한 것이 아니라, 회사가 그 사람들에게 먼저 접근한 것이다.
아마 대부분의 경우가 linkedin일 것이다.

그런데 이건, 내가 예전에 Apple에 있었을 때에도 마찬가지 였던 것으로 기억한다.
많은 경우 recruiter나 hiring manager들이 부지런히 linkedin을 뒤져가면서 적당한 사람들을 찾으려고 노력을 많이 했었다.

그리고,
10~15% 정도의 사람들은 internal referral에 의해서 채용된다.
이미 다니고 있는 직원이 자기 친구나 옛 직장 동료 같은 사람들을 내부 referral system에 추천하거나 hiring manger에게 resume를 전달해 주어서 뽑게 되는 경우이다.

그런데,
주변에서 보면… internal referral을 했다는 사람은 많이 만났는데, 그렇게 referral 한 사람이 최종적으로 offer를 받게 되었다는 사람은 거의 보지 못했다. 그런걸 보면, internal referral을 해서 막상 그 사람이 offer를 받게되는 비율도 피부로 느끼기에 10% 수준이 아닌가 싶다.

마지막으로,
그냥 online에서 지원해서 뽑는 경우는 1% 미만이라고 한다.

다시 말하면,
그냥 회사 website에서 보고 지원을 하는 것은…
음… 사실상 거의 뭐 하나마나 한 짓이라는 이야기가 된다.

그래서 제일 중요한 것은,
linkedin profile을 잘 만들어 놓는 것이라는 결론.
혹은 좋은 network을 만들어 놓거나.

공정하기 위한 에너지

지금 직장에서는,
새로운 product를 proof-of-concept부터 시작해서 prototyping, 그리고 mass production용 process를 개발하는 일까지를 하고 있다.
새로운 아이디어가 생기면 우선 실험실에서 쿵딱쿵딱해서 하나를 만들어 보고, 그게 좀 괜찮다 싶으면 약간 큰 scale로 만들고, 결국은 대량 생산을 하는 회사를 찾아서 그걸 process를 넘겨주어야 한다.

당연히 새로운 process를 받아서 생산을 해줄 회사를 부지런히 찾아야 하고,
나는 그런 회사들을 발굴하고 그 회사의 technology 수준을 평가하고, 우리가 개발한 process를 시험삼아 돌려보고, 그걸 가지고 다시 평가하고… 뭐 그런 일들을 많이 한다.
그러다보니, 열몇개의 회사들과 동시에 여러가지 project를 진행시켜야하고, 그런 과정을 통해서 우리와 일 할 수 있는 회사들을 걸러내는 일을 해야 한다.
우리는 회사가 크지도 않고, 지금 내가 하는 일을 누구와 함께 하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사실상 나 혼자서 그 회사들의 기술을 평가하고 결정을 내리는 일을 해야하는 경우가 많다.

가령, 어떤 제품을 만드는 회사를 찾는데,
A,B,C 세개의 회사를 evaluate한다고 하자.

그러면 A,B,C 세 회사의 기술적인 면들과 business 관련 discussion들을 해가면서 세 회사가 말하자면 경쟁을 해서 제일 먼저 and/or 제일 좋은 퀄리티의 시제품을 우리에게 내도록 하는 일을 하게 되는데,
당연히 그것을 위해서는 내가 그 회사들에게 부지런히 정보도 제공해 주어야 하고, 그쪽의 development가 장애물을 만나서 잘 풀어내지 못하면 그걸 풀 수 있도록 도움도 주는 일을 해야 한다.

그런데,
나도 사람인지라… 열몇개의 회사들과 전화와 이메일을 하다보면 힘이 달리고,
그러면 어떤 회사들에는 똑같이 공정하게 모든 도움을 주지 못하게 될수도 있다.
그러면 당연히 내 도움을 적게 받은 회사는 그만큼 일을 잘 하기가 어렵게 되고, 우리의 project를 받기가 더 어렵게 된다.

다행히도 여태까지는 정말 내가 에너지가 부족해서 공정함을 잃어버리게 되는 일은 없었지만,
정말 삐끗 잘못하면 어떤 사람들에게 큰 불공정을 초래할수 있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체력을 기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