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바라보는 한국과 일본 technology 업계 (2)

보통 실리콘 밸리에 있는 회사들은 자신들이 개발한 제품을 대량생산하는 일을 해외의 다른 업체에게 맡긴다.
가령, Apple의 iPhone은 design을 미국에서 하지만 실제 생산의 대부분은 아시아에서 한다.

내가 가령 우리 회사에서 새로운 제품의 아이디어를 가지고 프로토타잎을 만들었다고 하자. 적을 수량의 프로토타잎은 우리 회사의 실험실에서 만들어 낸다. 그렇지만 어느정도 이 프로토타잎에 자신이 붙으면, 이걸 실제로 생산할 업체를 찾아다니게 된다.
단순히 이걸 생산할 업체만 찾는 것이 아니다. 그 생산할 업체가 사용할 부품, 그 부품에 사용될 재료등을 다 관리하는 경우가 많다.

가령, 내가 미국에서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디스플레이를 만든다고 하자.
그러면 나는 디스플레이를 만드는 LG나 삼성, 중국의 BOE 같은 회사들과 이야기를 하면서 내가 design한 디스플레이를 만들어 낼 만한 충분한 기술이 되는지를 점검한다.
그렇지만 그 디스플레이에 들어가는 앞면의 유리는 어느 회사 것을 쓸 것인지, 그 안에 들어가는 디스플레이를 형성하는 기판(substrate)은 어느 회사것을 쓸 것인지, 하는 것들도 다 따지게 된다. 그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를 만드는데 들어가는 소비재들, 화학약품들도 중요한 경우 따로 관리를 하기도 한다.

그러니까, 뭐 하나를 만들기 위해서는 그걸 만드는 회사만 딱~ 찾아서 하면 되는게 아니라 그 제품을 만드는 여러가지 공급망(supply chain)을 다 관리해야 한다.

그런데,
대개는 이 물건들을 만드는 회사는 ‘빨리’ 만드는게 진짜 중요하다. 그래야 문제를 빨리 발견할 수 있고, 단 기간에 불량률이 적게 만들어야 돈을 잘 벌기 때문이다.
반면에 여기에 들어가는 재료는 안정적인게 중요하다. 그래야 나중에 그 재료를 써서 만들었을때 몰랐던 문제가 생기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나는 그런 의미에서,
빨리 만드는것을 잘 하는 한국이 완성품을 만들고,
안정적으로 만드는 것을 잘 하는 일본이 재료를 공급하는 것이 꽤 효율적인 분업이라고 생각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