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바라보는 한국과 일본 technology 업계 (5)

트럼프 아저씨가 깽판을 치고 있어서…
지난 수십년간 지속되어온 국제적 분업체계가 무너져가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살짝 들때가 있다.
그러나 적어도 내가 보기엔 지금의 그런 분업체계의 다른 대안이 거의 없어 보인다.
미국에서는 manufacturing을 하는게 진짜 어렵다. 미국 사람들과 일해보면 그게 무슨 소린지 안다. ㅎㅎ

그런 국제 분업 체제 속에서,
빨리빨리를 잘 하는 한국 기업이 부품이나 완성품을 만들고,
안정적인 일을 잘 하는 일본이 재로나 화학약품, 혹은 일부 부품을 만들어서 공급하고…
그렇게 하는건 꽤 안정적이면서도 합리적인 분업체계인것 같아 보인다.

그런데….
나는 일본의 소니가 한국의 삼성과 같이 스마트폰을 잘 만드는 일이 일어나기는 진짜 어렵다고 본다. 여기에는 빠릿빠릿함의 문화가 아주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국의 화학업체가 일본화학업체가 만들어왔던 어떤 플라스틱 재료를 안정적으로 만드는 것은 훨씬 더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왜냐하면 이런 제품관리(quality control)은 어떤 특정한 체제(system)을 잘 적용함으로써 많이 개선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건 물룬 문화의 문제이기도 하지만, 그 문화를 잘 enforce할 수 있는 tool들이 이미 시장에서 개발되어 있다고 보는 거다.

그 대표적인 예가 삼성과 SK 하이닉스의 반도체다.
DRAM 반도체는 소위 ‘수율(yield)라는게 아주 중요하다.
처음 시작한 wafer에서 몇개의 살아있는 반도체 소자가 나오느냐 하는 비율이다.
한때 삼성의 수율은 100%가 넘는다는 이야기도 돌았다.
그도 그럴게… wafer 가장자리에 그냥 테스트 삼아서 형성해놓은 반도체 소자들도 다 작동이 된다는 거다.

이게 비전문가들에겐 어떻게 들릴지 모르지만, 정말 기가막힌 일인거다.

가령 일본 도시바와 한국의 삼성이 같은 크기의 웨이퍼에 같은 크기의 반도체 소자를 만드는데, 도시바의 수율이 90%이고, 삼성의 수율이 99%라면, 삼성은 도시바보다 같은 품질의 반도체를 9% 싸게 공급할 수 있다는 얘기가 된다.

한국의 제조업은 이런식으로 이미 아주 높은 수준의 quality control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왔다.
그래서 나는 일본의 꾸준함을 한국에서 구현해내는 것이 아주 불가능하지 않다고 보는 것이다.
적어도 문화적으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