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동기들의 정치적 성향

나는 과학고등학교가 처음 생긴지 얼마되지 않아 과학고등학교를 들어갔다.
그래서 내가 다른 사람들에게 이야기할때는 늘, ‘나때는 과학고 들어가기 쉬웠다’고 이야기한다. ^^
그리고 대전에서 그 당시는 ‘한국과학기술대학’이라고 불렸던, KAIST의 학부를 다녔다.
그러니 내가 처한 환경은 사람들이 정치에 많이 관심이 있는 것은 아니었다.
나는 87년에 대학교 1학년이었다. 그렇게 온 나라의 대학가가 독재타도를 외칠때에도, 우리는 비교적 잠잠했었다. 아주 소규모로 대전시내나 옆의 충남대에 가서 시위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있었을 뿐이다.
학생수도 얼마 안되고, (그 당시 전교생이 1,000명 수준이었으니) 게다가 사방이 논밭으로 둘려 있었던 그 당시 상황에서, 그 아이들중 일부가 교문 앞에서 독재타도를 외친들, 경찰이 거들떠보기라도 했을까.

내 학창시절의 상황은 그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 내 동기들을 가만히 보면, 거의 압도적으로 정치적으로 진보적이거나, 친민주당쪽 입장인 것 같아 보인다. (솔직히 말하면, 진보나 민주당을 좋아한다기 보다는 보수쪽을 혐오하는 성격이 큰 것 같다.)
소위 nerd라고 할 수 있는 사람들이었지만, 그리고 그 흔했던 시위한번 제대로 해보지 못한 사람들이었지만, 그 시대를 한국에서 살았기 때문에 이 사람들은 박종철 이한열을 죽인, 광주학살을 한 집단에 대해 평생 적대적인 사람들이 되었던 거다.

지금은 사람들이 평화시위를 통해 부패한 정권을 무너뜨린 기억을 갖게된 시대이다.
그리고 과도한 권력을 남용하는 집단에 대해 집단적으로 그 의사를 표출하는 시대이다.
이렇게 되면, 이 흐름에 역행하고있는 어떤 정치 집단들은, 혹시 살아남는다고 하더라도, 이 세대에게 평생 ‘타도와 청산의 대상’으로 남게될 가능성이 있다.

그런의미에서 나는,
지금 한국의 상황은 그저 당장 누가 조금더 정치적 이익을 얻느냐하는 것을 결정하는 것을 넘어, 앞으로 수십년간 지형이 어떻게 형성될 것이냐를 결정하는 시점에 와 있다고 본다.

목사직 세습

한국의 대형교회 목사직 세습을 놓고 이야기가 많다.
나도 당연히 그거 참 지저분하다고 생각하면서 띄엄띄엄 뉴스를 보고 있다.

그런데,
정말 엄밀히 이야기해서,
대형교회가 담임목사직을 자식에게 세습하는게 정말 지금 교회가 직면한 가장 큰 문제일까?
그렇게 해서 그 교회가 담임 목사 세습하겠다는거 철회하면 한국교회가 정상적이 되는 건가?

나는 솔직히 말해서,
많은 사람들이 핵심을 잘 못 짚고 있는게 아닌가 싶다.
목회직 세습은, 한국교회가 가진 병의 증상이지, 한국교회의 병 자체는 아니다.
감기에 걸렸으면 감기를 치료해야지, 기침만을 막으려해서 되지 않는다.

그 대형교회와 똑 같은 병에 걸려 있으면서 이번 담임목회 세습 반대에 열을 올리는 어떤 사람들을 보면…
저렇게 담임목사 세습에 반대했으므로 자신은 ‘옳은 쪽’에 서 있다고 생각하겠지… 하는 생각이 들어 더 암담하다.

나는 담임목사직 세습이 잘못되었다고 생각하지만,
그것에 목메어 있는 것은 오히려 문제의 근본을 제대로 보지 못하게 한다고 생각한다.

수술용 로보트

나는 내가 이런걸 만드는 일을 할거라고는 생각도 해보지 않았다.
그런데 요즘은 수술용 로보트를 만드는 일을 하고 있다.
일이 너무 많아서 완전 눌려 살고 있다. -.-;

구체적으로 내가 뛰어들어서 하고 있는 어떤 특정한 부분이 있는데, 그건 confidential이서 말하기가 좀 그렇고…

다음의 비디오 몇개는 수술용 로보트에 대한 간단한 소개들이다.
여기 주로 나오는 da Vinci라는 로보트는 우리의 경쟁회사에서 나온 건데, 사실상 현재 시장을 지배하고 있다.
우리는 그것보다 더 좋은 것을 만드려고 하고 있는 것이고… ^^

흥미로운 무신론자들

지난 몇달동안 영국 Premier Radio에서 하는 Unbelievable이라는 라디오 방송의 podcast를 열심히 들었다.

이 방송은 기독교인과 그것에 반대하는 여러 입장들을 가진 사람들이 나와서 토론을 하는 것이 그 내용이다.
무신론자도 있고, 불가지론자도 있고, 이슬람, 시크, 조로아스터, 뉴에이지등 아주 다양한 종교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나와서 서로 토론을 한다.

계속 기독교 이외의 다른 관점의 이야기를 듣다보면서 다음과 같은 생각들이 들었다.

  1. 나는 다른 종교에 대해 진짜 잘 모르는구나.
  2. 정말 좀 괜찮은 논리를 가지고 덤비는 무신론자가 생각보다 많지 않구나.
  3. 과학주의는 기독교의 적수가 되기 어렵겠구나.
  4. 기독교가 정말 아파할만한 그러나 정말 들어볼만한 기독교에 대한 비판을 듣기도 참 어렵구나.

그리고 무엇보다도 Stanley Hauerwas가 이야기한 것이 정말 맞다고 생각한다.

(주로 리차드 도킨스부류의 사람들을 지칭하면서)
오늘날의 무신론자들은 기독교에대해 흥미로운 비판을 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이처럼 흥미로운 무신론자들이 잘 발견되지 않는 이유는 기독교가 제 기능을 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기독교가 얼마나 볼품 없으면 그것에 반대하는 사람들이 그렇게 재미없는 사람들만 있겠는가

안타까움이 없는 사랑이 가능할까?

내가 부모인데, 능력이 없어서 자녀에게 교육을 제대로 시켜주지 못한다고 하자.
그런 상황이라면 내 능력없음을 말로 다 할수 없이 한탄하며 안타까워할 것이다.

내 자신을 자책하는 것이 그 상황에서 유일한 해결책은 물론 아니지만, 그리고 그것이 꼭 건강하다고 이야기하는 것도 아니지만…
자신에 대한 자책, 그리고 안타까움은 내가 사랑하는 대상에대해 더 해줄 수 없다는 것에 근거하고,
그런 감정은 사랑으로부터 비롯된다.
내 자녀를 사랑하지 않는다면, 그런 상황 속에서 안타깝지 않기 때문이다.

나는 영적리더들이 진심으로 자신이 섬기는 사람들을 사랑하는지를 알아보는 판별식으로 ‘안타까워하는 마음’을 사용하곤 한다.

(물론 이것은 나 자신에게도 비추어 적용해보는 기준이기도 하다.)

이 귀한 말씀을 가지고 이렇게 밖에 설교하지 못했다면서 안타까워 눈물을 쏟는 설교자에게서는 사랑이 보인다.

갑질 (5)

그럼 나는 이런 환경 속에서 어떻게 내 일을 하느냐…
글쎄, 결론부터 말하면 그냥 잘 못하는 것 같다. -.-;
이런 환경 속에서 나를 과대평가하지 않고 겸손하지만 분명하게 내가 할 일을 성실하고도 정직하게, 그리고 성공적으로 잘 해내는게 그리 쉽지 않다.
그렇지만 내가 나름대로 해본 몇가지의 생각이 있다.

우선,
갑질을 하지 않아도 되는 vendor/supplier를 찾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한다.
갑질이 많아지는 큰 이유 가운데 하나는, 함께 일하는 vendor의 실력이 부족하거나 성실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는 내게 여건이 주어진다면, 내가 하는 일에 관한한 실력이 뛰어나면서 성실한 partner를 찾는데 매우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인다. 그렇게하면 그 vendor를 믿고 그쪽에 더 많은 자율권을 줄 수도 있고, 더 서로 존중하면서 일하는 관계를 만드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두번째는,
이런 과정에서 내게 유익이 되는 것을 추구하지 않고,
일이 되게하는 것을 추구한다.
사실 세상에는, 하고 있는 일보다 자신의 self-promotion을 위해서 일하는 사람들이 훨씬 더 많다.
일이 되는데 필요한 것은 서로 논리적으로 동의해서 일하기가 가능한 반면,
self-promotion을 위해서 data를 더 얻어내거나 하는 것은 아무래도 무리가 따르기 마련이다.
그리고 그런 요청을 마치 중요한것인양 포장을 하는 일도 해야하고.

세번째는,
그렇지만 때로는 과감하게 불편한 관계를 만드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내가 비대칭적으로 더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이 있기 때문에,
그 정보를 안다면 나와 함께 일하는 사람들도 내 생각에 동의할 가능성이 많지만…
사정상 그 정보를 다 나누지 못할 경우가 많다.
그러면 어쨌든,…. “나를 믿고 좀 같이 가자”고 요청을 해야할수도 있다.
그쪽이 불편하게 생각하는 것을 살짝 더 밀어붙여야하는 경우도 있다.
일시적으로 욕을 먹는 일을 감수하는 일이 때로는 불가피하다.

마지막으로,
함께 일하는 회사/사람들에게 credit을 주는 것을 아까워하지 않는다.
그러려면 그건 이 사람들이 한거야.. 내가 한게 아니야… 라고 이야기를 해야할 경우가 많다.
말하자면 나를 낮추고 함께 일하는 사람들을 더 많이 높이는 것이다.
단기적으로는 이게 손해인것 같아 보이는데,
그렇게 계속 일을 하면 결국 나와 함께 일하는 사람들이 더 의욕을 가지고 일할 수 있는 관계가 만들어진다.

갑질 (4)

이런 환경 속에서 가장 두려운 것은 내가 정말 ‘갑질’을 하게되지는 않을까 하는 것이다.
이제는 Silicon Valley에서 꽤 오래 일한 엔지니어가 되었다.
그러면서 정말 갑질을 무지막지하게 하는 많은 사람들을 보았다.

격식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아시아의 회사에,
20대의 젊은 엔지니어가 반바지에 슬리퍼를 신고 가서는, 머리가 희끗희끗한 그 회사의 높은 사람에게 삿대질을 하면서 따지는 것도 보았다.
자기가 일을 얼마나 잘하는지 회사 내에서 보여주려고 자기가 담당한 회사 사람들을 마구 쥐어짜서 꼭 필요한 것 이상으로 data을 얻어낸 후에 그걸로 회사에서 승승장구하는 사람들도 보았다.

안타깝게도 흥미로운 것은,
이렇게 힘있는 회사에 다니는 사람들에게는 그 회사 직원이라는 이유 때문에 어떤 ‘권력’이 주어지는데…
그 권력을 그 권력의 범위만큼만 행사하는 사람을 그렇게 많이 보지 못했다.
거의 99%의 사람들은 그 권력을 가지면 자신이 그 권력을 가지지 못한 사람보다 더 낫다고 착각한다.
그리고 그 권력을 권력의 범위 이상으로 남용한다.

갑질은
Silicon Valley의 언어인듯 하다.

갑질 (3)

OEM (Original Equipment Manufacturing)이나 ODM (Original Development Manufacturing)은 주문자 위탁 생산이라고 번역하기도 한다.
이것은
– A라는 회사가 디자인을 하고,
– B라는 회사에게 그 디자인에 맞추어서 생산을 하도록 주문을 해서,
– B 회사가 그것을 생산하면
– A 회사가 그것을 사서 시장에 파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서, 볼펜하나를 만들려고 한다고 하자.
그러면 내가 볼펜을 디자인을 한다. 플라스틱 봉은 어떤 재질로 할 것인지, 지름과 길이는 얼마인지, 색깔은 어떤지, 안에 들어가는 스프링은 어느정도 세기의 스프링을 쓸 것인지, 잉크는 어느정도의 점도를 가지게 할 것인지, 볼펜 끝의 볼은 어떤 규격으로 할 것인지 등등.
그리고 그렇게 볼펜을 만드는 회사를 찾아서 그것을 만들어 달라고 부탁한다.
단순해보인다…
그런데 실상을 그렇지 않다.

볼펜회사에서는 금년 11월에 이 제품을 출시한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다른 볼펜에 대해 어떤 경쟁력을 가져야 한다는 필요조건도 가지고 있다.
주어진 시간 내에 이 개발이 잘 이루어지고, 원하는 규격을 다 맞추기 위해서는 그것을 개발하는 과정에서도 볼펜을 만드는 하청업체 혹은 vender와 부지런히 연락을 하면서 이 과정을 끌고 가야 한다.
이것을 위해서 요즘 silicon valley의 회사들은 이 제품을 만드는 기술을 이미 잘 알고 있는 사람들을 뽑아서 이것을 관장하도록 한다.
그러다보니 점점 vendor가 이것을 개발하고 제작하는 과정의 자세한 내용까지도 원래의 볼펜회사가 관여를 하게 된다.
그냥 이런이런 볼펜을 만들어 주세요… 하고 그것 나중에 받는 것이 아니라, 정말 아주 구체적인 것까지도 미주알고주알 control을 하고 manage를 하는 것이다.
이게 요즘 silicon valley 회사들이 많이 하는 방식이다. 자신은 공장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서 공장을 가지고 있는 회사들을 마치 거의 자기 회사인양 다루는 거다.

이쪽에 아주 구체적인 것 까지도 control하기로 악명이 높은 회사는 쿠퍼티노의 사과회사이다. ^^
볼펜의 예로 들자면, 볼펜을 조립하는 회사를 control 한다. 그리고 볼펜 플라스틱 봉을 만드는 회사도 control 한다. 게다가 볼펜 플라스틱 봉을 만들때 사용하는 mold 회사도 control 한다. 볼펜 플라스틱 봉에 사용되는 재료 회사도 control 한다. 구체적으로 몇도에서 이 공정을 하는지 그 공정을 +/- 몇도 이내에서 control하도록 요구한다. 그렇게 만들어진 플라스틱 봉이 섭씨 50도와 -40도에도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지를 테스트하도록 요구한다… 정말 끝도 없다.

하다못해 볼펜 하나를 예로 들어도 이렇게 복잡하고 많은데,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만든다고 생각해보라.
vendor들을 관리하고 control하는 일이 정말 장난이 아니다.

시장의 구조가 이렇게 되어 있기 때문에
이렇게까지 해아하나 하는 생각이 들만큼
영혼까지 탈탈 털리도록 micro manage를 하고 관리를 할때가 많다.

사과회사같은 top tier 회사는, 주요 부품을 만드는 회사에 아예 십여명 많게는 수십명이 상주를 하면서 계속해서 보고를 받고 지시를 한다.
그 vendor(하청업체)들은 그렇게 와 있는 원청업체의 직원들을 정말 잘 대접한다…

갑질 (2)

갑의 위치에 있을때 갑의 위치를 그냥 방기하는 것이 반드시 좋은 것은 아니다.
갑은 을을 대할때, 우리가 모두 동등하다는 것을 꼭 염두에두고 해야 하지만,
갑은 때로 갑으로써 해야하는 일이 있을 수 있다.

내가 생각하는 다음의 몇가지 이유 때문이다.

우선, 정보의 불균형 때문에 그렇다.
대개 갑은 을보다 더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특히 고급 정보일수록 더더욱 그렇다.
갑은 어떤 project를 더 high level에서 조망하게 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resource allocation이나 schedule등을 더 잘 알고 있다. 그리고 여러가지 이유 때문에 그 모든 것은 을에게 다 알려주기 어려울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갑은 그 정보들에 비추어서 을에게 언제까지 무엇을 어떻게 해야한다는 이야기를 잘 해 줄 필요가 있다.

두번째, 일반적으로 갑과 을이 함께 존재하는 상황에서 을이 갑에게 기대하는 어떤 것들이 있고, 을이 갑에게 기대하는 어떤 것들이 있다. 그것은 대개 시장에서 이미 형성되어 있는 일종의 ‘일하는 방식’이다.
물론 그 속에서 나쁜 갑질이 일어나지 않도록 잘 해야하겠지만, 갑이 을에게 무엇인가를 지시하고 그것을 검사하고, 그 모든 것에대해 최종적인 책임을 지는 구조를 완전히 피하기는 어렵다.
그것은 시장에서 통용되는 ‘일하는 방식’을 깨는 것이고, 대안적 구조를 만드는 것은 그저 한두사람의 노력으로 후다닥 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세번째,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게으름’이라는 함정에 잘 빠지기 때문에 그렇다.
이건 정말 tricky한 이야기인데…
내가 을의 입장에서 보아도 내 갑이 나를 부지런히 ‘관리’할때 내 productivity가 더 높아지는 경우가 분명히 있다.
그것이 너무 극단적이 되어 micromanage를 하는 지경까지 가면 오히려 productivity가 떨어지게 되지만, 절절한 순간에 일이 되었는지를 점검하고 책임소재를 분명하게 하는 일들은 일이 그냥 흐지부지 않되지 않도록 막는데 분명히 역할을 한다.

실제로, 내가 ‘갑;의 위치에 서 ‘갑’이 해야하는 일을 제대로 하지 않으면,
나와 함께 일하는 ‘을’과 나는 모두 함께 실패하고 낙오하게 된다.
내가 을의 입장에 있을때도 물론 마찬가지이다. 나와 함께 일하는 나의 ‘갑’이 (내 manager가 되겠지) manager로서의 역할을 잘 해주어야 내가 정말 일을 제대로 잘 할 수 있다.

나는 아주 원론적으로는 어떨지 모르겠는데,
현실적으로는 갑과 을이 분명히 존재하고 그 존재를 마치 없는것 처럼 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