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식의 적실성

지금 교회에서 ‘안식’에 대한 설교를 하고 있다.
사실 나는 지난 주에 어린 아이들을 돌보는 담당이어서 설교를 듣지 못했다.
예배 끝나고나서 목사님이 이번주 설교 꼭 찾아 들어보라고 하셨다. 아마 내게 표적설교를 하신게 분명하다 ㅋㅋ
아직도 나는 설교를 듣지 못했다. 아마 며칠 이내에 들어보게 되겠지.
(이렇게 표적설교를 해주시는 설교자가 있고, 그걸 support하는 교회가 있으니 참 좋은 일이다.^^)

그런데,
내가 처음 ‘안식’이라는 주제로 설교 시리즈가 시작된다는 이야기를 들었을때, 나는 반갑기보다는 다소 우려가 되었다.
그도 그럴 것이, 소위 ‘안식’에 대해서 다루는 글이나 책들을 잃어보았을때 너무나도 적실성 (relevancy)가 떨어진다는 느낌을 많이 받았을 때가 많았기 때문이다.

안식이 좋은 것도 알고, 안식이 하나님에 대한 신뢰의 표현이라는 것도 알고, 안식이 명령이라는 것도 알고… 다 아는데…
그런데 현대 사회에서 안식을 그렇게 쉽게 할 수 있는게 아닌걸 어떻게 하나.

가령,
옛날 화물선에서 함께 노를 젓는 노예들을 생각해보자.
노예들은 모두 채찍을 맞아가며 함께 노를 젓는다.
그런데 갑자기 어떤 노예가 ‘안식’을 해야겠다면서 노 젓는 일을 멈추면 어떻게 될까?
괜히 그 옆에 있는 노예들이 죽어나는 거다. -.-;

안식하지 못하는 노예선이라는 system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으면서,
안식하지 못하는 것을 모두 노예 개인의 책임으로 돌리는 것은 결국 어떤 공명을 만들기 대단히 어렵다.
그리고 솔직히 말해서 그렇게 말하는 사람들이 무책임 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Marva Dawn 같은 훌륭한 분의 안식에 대한 개념도, 내게는 목구멍으로 넘기기 어려운 알약과도 같이 느껴진다.)

적어도 현실 속에서 의미있는 고민과 실험과 실패 등등이 있어야만 비로소…
안식하지 못하는 현실 속에서, 무엇이 탐욕이고, 무엇이 불신앙이고, 무엇이 저항이고, 무엇이 휴식이고, 무엇이 예배이고, 무엇이 용기이고, 무엇이 게으름이고, 무엇이 회피이고, 무엇이 비겁함이고, 무엇이 사랑인가 하는 것을 조금이나마 볼 수 있게 되는 것은 아닐까.

그런 의미에서,
공동체가 함께 안식의 설교를 듣는 것을 넘어서서,
안식의 문제를 가지고 씨름하고,어떤 시도를 해보고,
함께 고민하고, 토론하고, 논쟁하고, 격려하고, 나누고, 기다리는 일을 공동체적으로 해야하는 것은 아닐까 싶다.

교회의 새로운 설교 시리즈를 통해, 공동체가 그렇게 좀 움직여 볼 수 있으면 좋겠다.
https://lately.cc/eungyu/5621
어제 이 글을 읽고서 나도 한숨에 내 생각을 더해본다.

Verily

나는 이번에 job searching을 하면서, 정말 start-up company에 가고 싶었다.
그 이유는 내 skill set이 start-up에 적절하다고 생각했고, start-up에서 active하게 일하면서, 때에따라서 다양한 role을 담당하는 것을 하고 싶었다. 그리고 그러면서 많이 더 배우고 싶었다.
그리고 또한 내가 하는 일이 직접적으로 final product에 영향을 끼치는 일을 하고 싶기도 했다.
여러가지 bureaucracy 없이 후딱 후딱 일이 진척되는 것을 경험하고 싶기도 했고.

그래서 start-up company들을 마구 찾았고, linkedin 등을 통해서 동네 start-up 들을 마구 찔렀었다.

내가 너희 회사를 지난 몇년간 쭉 follow을 해 봤는데, 내가 보기에, 너희 회사는 지금 이 시점에서 나 같은 사람이 꼭 필요하다.

뭐 이런 당돌한 이메일을 마구 보내면서.

그런데, 어떤 start-up을 interview까지 잘 끝내고는 막판에 안되겠다고 뒤집었고,
어떤 start-up은 내가 contact 하기 1주 전에 나와 비슷한 사람을 뽑았다고 연락을 해왔고,
어떤 start-up은 앞으로 6개월에서 1년쯤 뒤에는 너 같은 사람이 꼭 필요할 것 같다고 이야기해온 곳도 있었다.

에이… 왜 이렇게 잘 안될까.

결국 여기저기를 뒤지고 찾다가, 예전에 잠깐 linkedin으로 연락을 주고 받았던 지금 내가 다니는 회사의 recruiter와 잠깐 대화를 나누었던 것이 생각나서, 연락을 했다.
그랬더니, job posting, job description도 없는 이상한 job opening(?)을 놓고 인터뷰를 했고 결국 이 회사에 왔다.

그런데, 막상 들어와보니, 여기가 완전 start-up이다!
아주 분위기도 그렇고, 하는 일도 그렇고, 사람들의 일하는 스타일도 그렇다.
실제로 ‘우리회사’의 직원들을 모두 모아도… 조금 큰 강의실 사이즈의 회의실에 모두 들어간다.
(지난 금요일에 all-hands meeting이 있었다.)

게다가,
어제는 드디어 회사가 이름도 바꿨다!
Verily (http://www.verily.com)

솔직히 말해서, 나는 회사 이름에서 아주 유명하고 잘나가는 회사의 이름이 빠진게 좋다. (아.. 나는 절대로 G 회사에 나쁜 감정 없다.ㅎㅎ 그냥 내 preference가 그런 것이니)
이름이 덜 유명한 회사에서, cool technology로, final product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면서 일하는 것을 정말 바랬으므로…
뭐 어느정도 내 바람이 이루어진 셈이다. ^^
적어도, 우리회사가 좀 더 이름이 알려져서 유명해지기 전까지는… 정말 start-up의 기분을 좀 더 낼 수 있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 ^^

회사 이름도 마음에 든다. (나 같이 영어 발음 나쁜 사람은 발음하기 좀 어렵다는 문제가 있긴 하지만 ㅋㅋ)
Verily 라는 단어는, 사실 King James Version을 읽다보면 많이 나온다. 솔직히 말해서 KJV 말고는 Verily 라는 단어를 다른 곳에서 쓰는 것을 본적이 없다.
(가령 유명한, 요한복음 5:24절을 King James Version으로 읽어보라.)

말씀 묵상

Advent 시즌이 시작된지 벌써 한주 이상 지났다.

혹시 Advent 묵상을 따로 하고 싶으신 분들에게 다음의 몇가지를 추천

http://www.scriptureunion.org/news/take-essential-journey-bethlehem-advent-season
사실 나는 미국 성서유니온에서 publish하는 ‘seasonal devotion’을 몇년간 계속 사용했었다. 사순절과 강림절 모두.

http://ccca.biola.edu/advent/
우리 목사님의 추천으로 biola에서 제공하는 사순절 묵상을 금년에 사용해 보았는데, 음악과 미술 모두가 어울어진 묵상 contents가 좋았다.
지난 사순절에는 내 친구 한 사람과 이걸 함께 묵상했었는데, 그것도 아주 좋았다.

http://www.gordonconwell.edu/resources/2015-Advent-Sign-Up.cfm
수년전 Cordon-Conwell 신학교에서 제공하는 seasonal devotion을 사용했었는데, 이곳에서 제공하는 신학적 관점이 좋았었다.

지난 주말에 매일성경의 묵상 본문이 아모스로 바뀌었다.
한국의 현재 상황 속에서 아모스를 묵상 본문으로 정하다니… 한국 성서유니온이 좌파인건가. ㅋㅋ

개인적으로 많이 고민하다가,
나는 그냥 한국 매일성경 본문을 계속 따라가기로 했다. ^^

한국의 여러 상황을 생각하며, 여러가지 injustice를 미국과 전 세계에서 바라보면서,
아모스 선지자가 외치는 외침을 더 깊이 한번 들어보고 싶다.

아모스가 과연 어떻게 ‘성탄’으로 나를 이끌어갈지 하는 기대를 해본다.

새 직장 update

새 직장 어떠냐고 물어보시는 분들이 좀 계셔서…

새 직장은…
뭐 공돌이로서 열심히 일하고 있다.
어떤 의미에서 여태껏 하던일과 그리 많이 다르지 않다.

물론 medical device를 만드는 새로운 분야의 일을 하는 것이긴 하지만,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기술이나 지식이 비슷하기 때문에, 가끔 내가 이해하지 못하는 medical 용어들이 presentation에 등장하는 것만 빼면 대체로 무리는 없다. ^^

대충 아침 8시쯤 출근해서, 6:30~7시쯤 퇴근을 한다.
아주 일하는 시간이 긴편은 아닌데, 그럼에도 회사에 있는 도중에는 완전 정신없다.
그래서 집에 돌아오면 이전보다 더 피곤하다.

내가 이전 직장에서 1개의 product를 만들기 위해 일했던 것과는 달리,
지금은 동시에 몇개의 product를 개발하고 있고,
게다가 사람들이 meeting하다가 이런 것도 만들어보자..는 식으로 새로운 아이디어가 생기면 그걸 또 만들고… 하기 때문에,
일은 정말 많긴 하다.

다른 사람들은 느긋하게 회사 식당에서 밥도 먹으며 이야기도 하고 그러던데…
나는 식당 줄 서는 시간이 아까워서 사람들이 다들 빠져나간 오후 시간에 10분만에 후다닥 식사를 하곤 했다.

그도 그럴 것이,
내가 있는 회사는, ‘start-up company’이다.
Alphabet 산하에 있는 start-up company이기 때문에, 매우 pace도 빠르고, deadline도 촉박하고 뭐 그런 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같은 캠퍼스의 ‘대기업’ 직원들과는 좀 차이가 난다. ^^

아마 새로운 직장에서 경험하는 일들을 이 블로그에 조금씩 앞으로도 적어가겠지만,
이제 막 두주가 지나가고 있음에도 나는 벌써 두어달쯤 일한 사람같이 일하고 있다.
새 직장 적응기간… 뭐 그런거 없다. 거의 처음부터 full speed다.

그래도 참 감사한건, 밤 늦게 conference call같은 것이 적어도 아직까지는 없다는 것이다. ^^
밤 늦게 이메일이 오는 것도 그리 많지 않고.
그나마 그 이메일 답장을 바로바로 해야할 필요가 없는 경우가 많다.

지금 하고 있는 것 가운데, 대중에게 이미 알려져 있는 것은 smart contact lens 라는 것이다.

Contact lens에 glucose 센서, wireless communication chip, battery 등을 무지하게 작게 만들어서 넣고, 그 contact lens가 계속해서 몸의 glucose level을 측정해서 전화 혹은 다른 monitoring 기계로 data를 보내주는 것이다.

일이 많고, 재미있고, 바쁘고….
뭐 그런 것 가지고 많은 생각을 하기도 하지만,
무엇보다도 그냥 많이 감사하다.

이거 아니었다면 더 오래 실업자로 살게 되었을텐데 말이다.
모쪼록 오래 이 감사함을 잃지 말고 지낼 수 있으면 좋겠다.

실력 (4)

사실 실력은 매우 복합적이다.

내가 고등학교때에는, 세상의 모든 사람의 실력을, 미분방정식 잘 푸는 순서대로 배열할 수 있다고 생각했었다. -.-;

이렇게 생각했던 나를 보면서 피식~ 하는 분들이 분명 있겠으나…. ㅎㅎ
다음의 생각을 한번 해보자.

가령, 이런 이야기를 들어보지 못했는가?
“저 사람은 실력은 없는데 정치를 잘해서 저렇게 잘나가는 거야”

음…
뭐 그 이야기를 풀자면 이렇다. 일은 잘 못하지만 인간관계를 잘 만들고, 윗 사람들에게 잘 보이고, 동료들의 신임을 얻고 해서… 일을 잘 못하는 것에 비해서는 더 잘나가는 위치에 가 있다는.

그런데, 가만 생각해보라.
결국은 그렇게 ‘정치를 잘 하는 것’도 실력이 아닌가?

일 잘하는 것은 실력이지만, 정치를 잘하는 것은 실력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것은,
세상의 모든 사람들을 미분방정식 잘 푸는 순서대로 배열할 수 있다고 생각했던 내 고등학교때 철없는 생각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나는,
실력을 접근할때 좀 더 다각도로 보아야한다고 생각한다.

대개 ‘저 사람이 실력은 없는데 ooo를 잘해서’ 라고 이야기 하기 전에,
ooo도 실력이라는 것을 감안하고 인정해야한다는 것.

실력 (3)

물론 대부분의 경우,
어떤 사람의 실력없음이 다른이들에게 고통을 주게되는 왜곡은,
그 사람의 실력없음에 기인하기 보다는, 실력없음을 용납하지 않는 경쟁사회로부터 기인한다고 보는 것이 맞을 것이다.
그러므로, 실력없음을 죄로 정죄하려는 생각은 많은 경우 건강하지 못한 것이다.

그러나,
가끔은 실력없음, 혹은 능력의 부족이 가져다주는 결핍으로 인해, 자신과 다른이들에게 주는 피해가 있다면 그것이 깨어진 세상 속에서 ‘죄’가 드러나게 만드는 매개체가 될수도 있다는 것이 내 생각이다.

우리가 ‘죄’라고 번역하는 단어는 크게 나누어서 두가지 부류가 있다.
첫번째는 ‘기준에 미치지 못함’, 혹은 ‘target에서 벗어남’을 의미하는 히브리어 하타, 헬라어 하말티아이다. 이것은 영어로 sin이라고 번역할 수 있을 것 같다.
이 sin은 창조주의 선한의지로부터 벗어나있는 피조세계의 ‘상태’를 기술하는 단어이다.

두번째는 ‘의지적으로 반항함’ 혹은 ‘잘못을 행함’을 의미하는 히브리어 페샤, 헬라어 아디키아가 있다. 이것은 영어로 transgression이라고 번역할 수 있을 것 같다.
이 transgression은 하말티아의 상태를 실제적으로 드러내는 행위라고 이야기할 수 있을 것 이다.

흔히 우리가 쉽게 생각하는대로, 다른 사람에게 거짓말을 한다거나, 다른 사람을 해친다거나 하는 등의 transgression은, sin의 상태를 드러내는 행위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만일 이런 분류를 생각한다면,
앞에서 예로든 실력없음의 행동은, 전반적으로 죄(sin)로인해 어그러진 세상 속에서, 그 어그러짐을 드러내는 transgression의 형태로 나타나게될수도 있지 않을까… 뭐 그런 생각을 해보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내 주장은 이것이다. : 실력을 키우기 위해 노력해야하는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실력없음이 ‘죄’를 드러내는 도구로 사용되기 쉽기 때문이다. 하나님에 대한 사랑, 사람들에 대한 사랑의 마음이 실력을 키우는 일차적 동인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아, 이것은…. 완전 아마추어의 논리 전개이니, 좀 잘 아시는 분이 한수 가르쳐주시면 참 좋겠습니다. ^^ – 특히 교회사 속에서 이런 비슷한 생각을 전개한 사람이나 흐름이 있었는지 좀 알면 좋겠는데…)

실력 (2)

어떤 사람이 유난히 몸이 약하다고 하자.
그래서 조금만 무리를 하면 쉽게 지치고, 병에 걸린다.

우리가 많이 피곤하거나 병에 걸리면, 단순히 몸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뿐 아니라, 감정적인 상태나 정서적인 상태 역시 영향을 받게 된다.
그래서 건강한 상태라면 보이지 않을 예민한 반응을 보일수도 있다.
그렇게되면 그로인해 주변 사람들이 영향을 받고 불편하게 된다.

이걸 좀 많이 극대화시켜서 생각하면,
어떤 이의 육체적인 결핍이 정서적 감정적 심지어는 정신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그로인해 이 사람이 잘못된 판단과 결정을 하게될수도 있다.
그런 경우 이 사람이 내리는 잘못된 판단과 결정의 뿌리를 이 사람의 육체적 결핍에 일부 돌릴 수 있는 것은 아닐까?

그렇다면,
가령 어떤 사람이 가지고 있는 육체적인 능력(체력, 건강 등)과 이 사람이 빠지게되는 죄와의 연관성이 전혀 없다고 이야기할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