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진짜로? (9)

그래서 나는 이렇게 생각한다.

1. 직장을 찾는 엔지니어들은, 얼마나 cool한 기술을 하고 있느냐 하는 것을 가지고 직장을 선택하기 보다는…
얼마나 그 리더가 뛰어난 사람인가 하는 것을 가지고 직장을 선택하는 것이 더 안정적이고 합리적이다.

2. 앞으로 10년 동안… 만일 아주 뛰어난 천재가 어떤 쪽으로 가야 제일 그 뛰어난 재능을 펼치기에 좋겠느냐… 라고 한다면 기술쪽 보다는 경영쪽이 아닐까 싶다. (다만 경영을 하되 기술을 아주 잘 알고 있어야 할 듯)

3. 그러나 앞으로 10년 동안… 어느쪽 job이 유망하냐 라고 묻는다면, execution에 강한 엔지니어라고 이야기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4. 원청과 하청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불합리한 상황은, 점차로 원청업체의 pool이 넓어져야 해결이 되는 것일텐데…
그런 의미에서 뛰어난 원청업체들을 잘 만들어내는 경영자의 능력이 justice를 만들어 낼 가능성이 있다.

5. 그러나… 지난 두주 내가 여기 쓴 이 모든 이야기는… 그냥 내가 혼자서 생각해 본 것이므로, 완전 틀릴 가능성 완전 높다. ㅋㅋ

4차 산업혁명, 진짜로? (8)

자….
이게 얼마나 정의롭지 못하냐 하는 이슈에 대해서 물론 다루어 볼 수 있지만…

지금 이런 기술의 흐름 속에서 상황이 이렇다면…
돈을 벌 수 있는 방법은 원청업체가 되는 것이다.
그런데 그게 그리 쉽지가 않다.

가만히 생각해보라. 삼성과 Apple 그리고 몇몇개 회사들을 제외하고는 스마트폰을 만드는 회사가 얼마나 되는지.
그리고 새로운 회사가 진입을 좀 하려다가 얼마나 실패했는지.

만일 4차 산업혁명의 큰 흐름 자체가 이미 짜여진거고, 지금부터는 그 판에서 어떻게 노느냐 하는것이 더 전개되는 것이라면…
누가 원청업체의 자리에 오르게 되느냐 하는게 중요한 key일 것 같다.

그런데,
이 원청업체가 잘 하는 것은…
innovation이 아니다.
execution이다.

innovation은 entrepreneur들에의해서 만들어지는 start-up들에서 이루어 진다. 그리고 그 start-up들은 하청업체가 된다.
원청업체에게 그 만들어지는 기술들을 잘 조합하는 능력, 그리고 그것은 정해진 시간 안에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능력이 중요하다. (plus 다양한 기술들을 잘 분별해 내는 능력)

그래서 나는…
한국과 같은 사회에서, 아니 꼭 한국이 아니더라도 미국도 그렇고…
지금 innovation을 더 하려고 달려드는 것은 레드오션데 뛰어드는 것으로 보인다.
execution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그나마 줄어들고 있는 블루오션에 들어가는 길이라고 생각한다.

그런 의미에서,
엔지니어의 한 사람으로서 이런말 하는게 좀 씁쓸하지만…
뛰어난 경영자와 그저그런 기술자그룹을 가진 회사가, 덜 뛰어난 경영자와 뛰어난 기술자 그룹을 가진 회사보다 성공할 가능성이 훨씬 더 높다.

4차 산업혁명, 진짜로? (7)

그런데,
적어도 내가 생각하기에 지금 진행되고 있는 흐름에 있어 우려스러운 것은 불합리한 수익배분의 구조이다.

한국에서 원청과 하청업체의 문제 이야기를 많이 하고,
한국에서 대기업과 중소기업 직원의 소득 격차 이야기를 많이 하는 것과 비슷한 맥락이다.

가령, 실리콘밸리의 어떤 회사에서 어떤 전자기기를 만든다고 하자.
그러면 실리콘밸리의 엔지니어들이 디자인을 하고, prototyping을 해서 어느정도 입증이 되면,
아시아등의 나라 회사에 ‘하청’을 준다.

그런데 이때 실리콘밸리의 회사는 30%의 이익률을 내면서 하청업체들에게는 0~5%의 이익률정도를 갖도록 한다.
그러면 당연히 원청업체는 점점 더 돈이 많아지고 하청업체는 점점더 절박해지게된다.

이게 가능한 이유는,
원청업체에서 하청업체의 모든 것을 다 들여다보기 때문이다. 소위 BOM (Bill of Material) 이라고 하는데 원청업체가 하청업체로부터 받는 물건의 가격을 정할때 BOM을 기준으로 정한다.

예를 들어보면 이렇다.

의자를 만드는 원청회사가 있다고 하자.
그리고 그 회사에게 못을 공급하는 하청업체가 있다고 하자.
그러면 그 원청회사는 하청업체가 어떤 회사로부터 철 원재료를 어떤 가격에 사 오는지, 하청업체에서 그 철 원재료로부터 못을 만드는데 어떤 공정을 사용하는지, 거기에 들어가는 다른 첨가물이나 화학물질들은 무엇인지, 그것들은 어디에서 얼마에 사 오는지 하는걸 다 안다.
그래서 원청업체는 그 모든 정보를 바탕으로 하청업체에게… 너 그거 만드는데 다 해서 10센트 들지? 내가 너 3% 이익율 보장해줄께. 나에게 10.3 센트에 공급해. 이런식으로 이야기하는거다.

이게 가능한 이유는,
원청업체에 비해서 하청업체가 월등하게 더 많기 때문이다.

나처럼 원청업체에서 하청업체를 다루는 일을 하는 사람들에게는 정말 무지하게 연락들이 온다.
전 세계에서 여러 경로로 연락을 해온다.
그래서 나는 내 전화번호를 명함에 공개하지 않는다. 그걸 공개해놓으면 도저히 내가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4차 산업혁명, 진짜로? (6)

만일 내가 생각하는게 어느정도 맞다면, 사실 그건 한국같은 나라에겐 희소식이다.
왜냐하면, creativity는 단기간에 만들어지기 어렵고,
사회와 기업의 문화를 순식간에 바꾸는건 대단히 어려운 일이지만…

정말 execution을 잘 하는 것은 비교적 단기간에 노력해서 할 수 있는 일이기 때문이다.

물론 초창기에 creativity를 가지고 새로운 innovation을 만든 사람들에게 주어지는 reward는 크다.
Google이나 Apple을 보라. 순식간에 세계에서 제일 높은 가치의 회사들이 되지 않았나.

그렇지만,
전기의 발명에 따른 2차 산업혁명의 덕을 본 것이 에디슨이나 테슬라 같은 사람들 뿐이 아닌 것 처럼,
반도체의 발명에 따른 3차 산업혁명의 덕을 본 것이 Bardeen, Shockley, Brattain과 같은 사람들 뿐만이 아닌 것 처럼,
인터넷의 발명에 따른 4차 산업혁명의 덕을 보는 것이 Google과 Apple만 되지는 않을 것이다.

다만 지금은 excellent front-runner보다는 smart하게 catch-up을 잘 하는 사람들에게 오히려 더 기회가 있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다.

4차 산업혁명, 진짜로? (5)

지금 벌어지고 있는 일이 정말 4차 산업혁명이라고 불릴만큼 만개하게 될 것인가 하는 것은 당연히 예측하기 어렵다.
그러나, 만일 지금의 trend를 정말 4차 산업혁명이라고 한다면…

다시 1~3차 산업혁명의 예와 비교해서 생각해보자.

1차 산업혁명
– 핵심적 발명 : 증기기관
– 주로 돈을 번 사람들 : 철강, 철도, 대량생산을 시작한 공장들

2차 산업혁명
– 핵심적 발명 : 전기
– 주로 돈을 번 사람들 : 전기회사, 각종 전기제품 제조사 (산업용, 가정용)

3차 산업혁명
– 핵심적 발명 : 반도체
– 주로 돈을 번 사람들 : 반도체 회사, 컴퓨터 회사

wikipedia같은 곳에 나와있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설명을 보면,
그 핵심 기술로 무슨 나노 기술이니… 로봇 공학이니… 심지어는 3D 프린터니… 뭐 그런 것들이 나와 있는데,
나는 아니라고 본다.

그 핵심 기술은 결국 인터넷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 인터넷이 나머지 것들을 리드했다고 생각한다.
내가 앞의 글에서, 지금 벌어지고 있는 innovation들이 이전의 1~3차 산업혁명과 다르다고 느껴지는 것은,
이미 그 핵심의 innovation이 이미 지나갔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한다.

4차 산업혁명은 다음과 같이 생각해볼 수 있지 않을까?
– 핵심적 발명 : 인터넷
– 주로 돈을 번 사람들 : software회사, connected device들을 만드는 hardware 회사

만일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생각을 정리해 볼 수 있다.

1) 4차 산업혁명의 큰 덩어리는 이미 지나갔다!
2) 지금은 새로운 흐름을 주도해서 뭔가를 만들어 나가야 할 때라기 보다는… 이미 만들어진 흐름을 가지고 활용할 때이다.
3) 그렇다면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한다거나, 그걸 리드한다거나 하는 식의 접근 보다는, 이미 벌어진 판에서 어떻게든 더 돈을 벌 수 있을까를 고민해야 한다. 아직은 이게 완전히 레드오션까지는 아니라 하더라도, 아주 급격히 레드오션이 되어가고 있는지도 모른다.
4) 그러면 이 바닥에서 필요한 사람은, 1960년대 Ford에서 대량생산을 주도하며 만들어냈던 엔지니어라던가, 1980년대 삼성에서 64k DRAM을 만들어 냈던 사람들 같은 그런 사람들인거다. Steve Jobs가 아니고.

다시 말하면,
creativity보다는 execution에 강점을 갖는 사람들이 더 필요한 시대가 금방 올수도 있다는 거다.
괜히 Steve Jobs를 길러낸다고 어줍잖은 인문학 교육이니 그런거 하는건 핀트에 맞지 않는다는 거다.

오해 마시라.
나는 인문학 교육 무지하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그건 4차 산업혁명에 맞는 인재를 길러내기 위해 중요한게 아니라, 사람다운 사람을 길러내기 위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4차 산업혁명, 진짜로? (4)

1차 산업혁명은 증기기관의 발명에 의한 것이라고 볼 수 있고,
2차 산업혁명은 전기가 사용됨으로써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고,
3차 산업혁명은 반도체로 인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증기기관, 전기, 반도체 이것들은 모두 customer의 need로 인해서 개발된 것들이 아니었다.
오히려 증기기관, 전기, 반도체등이 발명되었고, 그것을 어떻게 활용할까 하는 여러가지 생각들을 통해 그것이 대중화된 모습이었다.

그런데 지금은 뭔가 소비자들이 원하는게 있고, (때로는 그것이 잘 define되지 못하는 때도 있지만)
여러 기술과 산업과 예술과 비지니스의 요소들을 잘 섞어서 소비자들이 원하는 것을 만들어내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innovation이 entrepreneur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있다고 한 내 앞의 글과도 연결이 된다.

그러면,
지금 벌어지고 있는 일들을 1~3차 산업혁명과 같은 현상이라고 볼 수 있는 걸까?

4차 산업혁명, 진짜로? (3)

그럼, 큰 회사들이 왜 이런식으로 innovation을 하는걸까?
우선은 R&D의 risk를 줄이기 위해서 그렇다.

당연한 얘기지만 연구개발이라는게 정말 될지 안될지 잘 모르는거다. 연구를 한다고 해서 꼭 잘되리라는 보장이 없다.
그러니, 내부적으로 연구개발을 하는 team을 만들어서 열심히 한다고 해서 그게 성공하리라는 보장이 없는거다.
대신, startup company들이 나름대로 성공적으로 개발해놓은 것이 있으면 그걸 그냥 후딱 사버리면 되는거다.
그러면 이게 될지 안될지 하는 risk를 감수해야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누가 대박은 터뜨리게 되는지를 보면… 결국은 그 startup company의 ‘주인들’이다.
다시 말하면 entrepreneur들이다.
그 startup company의 engineer들은 오히려 다소 적은 월급을 받으며 대신 혹시 대박이 터질지 모르는 주식으로 부족한 월급부분을 받는 형식인 경우가 많다. 그래서 engineer들이 그런 과정에서 약간 돈을 벌기도 하지만… 여전히 대부분의 reward는 entrepreneur들에게 돌아간다.

그러다보니… startup의 innovation은 inventor에의해서 이루어진다기보다는 entrepreneur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물론 entrepreneur와 inventor가 같은 경우도 있다. 혹은 entrepreneur와 inventor가 손을 잡고 이걸 함께 하는 경우도 있다.
그렇지만 결국은 entrepreneur가 짱이다!

innovation이 entrepreneur에 의해서 주도되다보니, 그 innovation은 대단히 entrepreneurial 하다.
innovation들이 geeky하기 보다는 대단히 fancy하다.
innovation의 technical한 요소 이외에도 다른 요소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고 그것들이 중요하다.
패러다임을 바꾸는 innovation보다는 improvement라고 할 수 있는 innovation이 대부분이다.

기술발전이 혁명적이라기보다는 혁신적인 특징을 갖는다.

4차 산업혁명, 진짜로? (2)

나는 어릴때 ‘과학자’가 되고 싶었다.
그때 그렸던 과학자는… 뭔가 큰 연구소에서 일하면서 흰색 가운을 입고 연구에 매진하여 새로운 발견과 발명을 해내는 사람이었다.

그런데,
솔직히 말해서, 요즘은 큰 연구소에서 그렇게 이루어지는 innovation이 그렇게 많지 않다.

나는 Apple이라는 회사와 거기서 나오는 product가 innovative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former Apple employee로서, 정말 그렇게 생각한다.)
그렇지만 Apple이 말하자면 대중들이 보기엔 innovation의 상징과 같이 여겨지므로 Apple의 예를 들어보자.

Innovation이 정말 Apple에서 얼마나 이루어지는가?

사실 대부분의 진짜 새로운 기술들은 Apple에서 오랜시간을 걸쳐 흰 가운 입은 박사님들이 개발을 하는게 아니다.
대부분 start-up company들이 큰 risk taking을 해가면서 개발을 한 것들이다.

가령, Apple의 Siri 라던가, multi-touch screen 이라던가, mp3 player라던가, fingerprint sensor라던가…
생각해보라. 다들 그걸 개발한 회사를 홀딱 사버리거나 그 회사의 기술을 사서 쓰는 것들이다.
Apple의 retina display같은 건 한국의 LG display와 삼성 display, 일본의 Sharp 같은데서 만드는 거다.
Apple이 잘하는건 그런 기술들을 적절하게 잘 모으는 일을 하는 것이다.

적어도 hardware쪽의 innovation은 많은 경우 그렇게 이루어진다.
그렇게 큰 회사들에 다니는 engineer들과 이야기를 해보면 정말 technical detail을 의외로 잘 모르는 경우가 있다.
왜냐하면 진짜 technical detail은 그 하청업체나 startup company들을 가지고있기 때문이다!

4차 산업혁명, 진짜로? (1)

한국의 뉴스를 보다보면 다들 4차 산업혁명 이야기를 한다.
그런데, 정말 4차 산업혁명이라는게 진짜 지금 이루어 지고 있는 거라는건 다 그냥 믿는 건가?
그 4차 산업혁명의 내용에 대해서도 다들 대충 동의하는 건가?

나 개인적으로는 지금 벌어지고 있는 기술발전의 모습들에는 오히려 ‘혁명적 변화’를 막고 있는 요소들을 많이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엔지니어로서 그걸 안타깝게 생각하고 있다.

그렇다고 지금 벌어지고 있는 변화들을 다 가치없다고 생각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지금 대단히 급격한 기술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부인하는 것도 당연히 아니다.

다만…
현장에서 나름대로 innovation을 위해서 노력하고 있는 engineer로서 내가 현장에서 느끼고 있는 몇가지를 한번 적어보고 싶은 것이다.

참고로 나는 지금 Verily Life Science 라는 회사에서 일하고 있다.
Verily는 Google이 만든 medical device 회사라고 할 수 있다.
지금 내가 involve되어있는 project들 중에는 대외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것들도 있고, 대외적으로 무지하게 많이 알려진 smart contact lens 와 같은 것들도 있다.

내가 직-간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것들 중에서 대외적으로 알려져 있는 것들을 몇개 열거하자면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Smart contact lens: contact lens에 무지하게 작은 microprocessor, bluetooth chip, battery, sensor 같은 것들을 넣어서 눈물로부터 혈당을 측정하는 contact lens이다.
– Another smart contact lens: contact lens가 자동적으로 눈의 작은 근육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lens의 도수를 바꾸어준다. 그렇게 함으로써 노안(presbyopia)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이 렌즈를 끼면 가까운 것과 먼 것을 다 볼 수 있다.
– Miniaturized CGM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아주 작은 패치를 몸에 붙이면 그 패치가 지속적으로 혈당을 측정해서 smartphone이나 기타 다른 device에 data를 보내준다. 당뇨병환자들에게는 병의 manage하는데 이게 아주 유용한 data가 된다.
– AIMD (Active Implantable Medical Device) : 아주 작은 전자제품을 몸속에 수술을 해서 넣고, 그 전자제품이 몸속에서 신경에 자극을 가한다거나 하는 방법으로 여러가지 병을 고치거나 control한다. 몸속에 들어가는 flexible electronics를 만드는 셈이다. (요즘은 주로 이 일에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다.)

이것 이외에도 두세가지정도 더 다른 project에 약간 관련이 되어 있다.

지금 job 이전에는
Flexible display
iPad의 screen에 들어가는 터치센서
Flexible fingerprint sensor
등등을 했었다.

이 정도면 그래도 innovation에 대해서 한마디쯤 해볼만한 자격은 되지 않겠나.

본질, 의미, 변질

본질과 의미가 일치할때가 있지만 그렇지 않을때도 있다.
가령, 부모의 사랑이라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해 보자.

부모가 자녀를 사랑하는 본질이 있다고 하자.
그 본질은 그러나 때에따라서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자녀에게 안정감을 주는 home base의 의미를 줄수도 있다. 사회를 구성하고 지탱해주는 building block과 같은 의미를 가지기도 한다. 어떤 경우에는 인간이 가지는 가장 헌신적 사랑의 예로 활용되어 사랑을 더 깊이 이해하도록 돕는 guiding light의 역할의 의미가 있다고도 하겠다.

그러나,
의미를 잘 모아서 본질을 재구성하기는 쉽지 않다.
왜냐하면 의미는 상황과 조건에 따라서 매우 다르게 만들어지고 설명될 수 있기 때문이다.

부모의 사랑의 예로 들어 설명하자면, 자녀에게 안정감을 주는 것, 사회를 구성하는 building block, 사랑의 헌신, 등등의 내용을 다 설명하고 그것을 모은다고 해도, 원래 본질이 부모의 사랑이었다는 것을 재구성하기는 어렵다.

그리고 때로, 의미가 변질되는 것은 본질 없이 의미를 추구하다가 그렇게 된다.

부모의 사랑이라는 본질이 자녀를 위해 최선의 교육을 제공함 이라는 의미를 가진다고 하자.
어느순간 부모의 사랑이라는 본질이 없어진채 자녀를 위해 최선의 교육을 제공한다는 의미만 남게되면, 그 자녀를 위한 최선의 교육을 제공한다는 의미 자체도 변질되어서 자녀를 들들 볶으며 과외를 시키고 자신의 성공의 대리품으로 자녀를 생각하는 것을 정당화하는 모습을 받아들이게 된다.
본질이 없이 의미만 남게되어 그 의미가 변질되게 되는 것이다.

나는 신앙에 있어서도 이런 것이 꽤 많다고 생각한다.
부활에 대한 것도 역시 그렇다.
너무 쉽게 부활이 가지는 현대적 의미, 부활이 가지는 적용점… 등등에 뛰어들게되면, 부활이 원래 가지는 본질에 대한 생각이 옅어지게 되고…
현대 사화에서 부활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하는 것에 대한 의미 자체도 변질될 수 있다고 본다.

그런의미에서 나는,
이런 절기때마다… 그리스도인들이 그 신앙의 가장 깊은 본질로 돌아가서 그것으로부터 의미를 다시 세워내는 일을 반복해서 해야한다고 생각한다.

부활절을 지내며 이런 생각을 해 보았다.